|
|
|
|
21세기 바람직한 공동체 문화
|
|
|
|
21세기 바람직한 공동체 문화
현택수
공동체 문화 의식의 증대
우리는 서울의 광화문 거리를 자주 걷거나 대중매체의 뉴스를 자주 보게 될 때 한약방의 감초처럼 빠지지 않고 반드시 보게 되는 사람들이 있다. 시민단체 소속의 사람들이다. 이들은 사회생활 각 분야의 환경 감시를 하면서 사회적 이슈나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즉각적으로 나서서 발생하는 사안에 대하여 논평, 항의, 고발, 시위 등을 한다. 동시에 이들은 문제의 사안들을 자신들의 문제로 삼아 이를 사회적으로 쟁점화하고 적극적인 해결책을 모색한다. 시민 사회 단체의 이런 순수성, 자발성 및 적극성 때문에 공동체 의식을 공유하고 공동체 활동을 지지하며 이에 참여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시민들은 한국 영화를 보호하기 위해 스크린 쿼터제 철폐 반대라든지, 저질 일본문화 수입 반대 등의 문화운동을 위한 시민 연대를 결성하기도 한다.
혹자는 시민 사회 운동을 하는 사람들을 의아하게 생각할 수도 있다. 자기 혼자 먹고 살기도 바쁘고 각박한 세상인데, 자신의 일도 아니고 남의 일이라고도 볼 수 있는 사회공공의 문제들을 갖고 저토록 열을 내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사회에서는 민주 시민 사회의 점진적인 성숙과 함께 이러한 공동체 의식과 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관심이 깊어가고 있다는 것은 아무도 부인하지 못할 사실이다.
사실상 특히 시민단체들 같은 공동체 조직들의 활동이 사람들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 활약 또한 그 어느 때보다 눈부시다. 시민들은 자발적인 공동체를 형성하여 정치, 경제, 인권, 환경 등 사회 각 분야에서 공공 영역의 정책과 기능을 감시하고 비판하며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민들의 움직임은 종교나 개인 양심의 문제를 넘어서 사회연대라는 공동체 의식의 확산에서 비롯되고, 나날이 그 참여율과 활동 영역이 넓혀지고 영향력도 강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동향은 미미하지만 문화예술의 분야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