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
|
|
|
Ⅰ.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의 개요
1. 의의
산업재해란 사업장에 건조물, 기계 장치, 또는 원료, 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여 또는 근로자의 작업행동에 의하여 근로자가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거나 사망하는 것을 말한다.1)1) 장동일. 한국사회복지법의 이해. 학문사. 2001. p.296
산재보험은 공업화가 진전되면서 급격히 증가하는 산업재해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1964년에 도입된 우리나라 최초의 사회보험제도이다. 산업재해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산업재해 자체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나 이미 발생한 산업재해로 인하여 부상 또는 사망한 경우는 그 피재근로자나 가족을 보호 내지 보상해 주기 위해서는 산재보험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할 것이다. 산재보험은 산재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책임을 지는 의무보험으로 원래 사용자의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책임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사업주로부터 소정의 보험료를 징수하여 그 기금(재원)으로 사업주를 대신하여 산재근로자에게 보상을 해주는 제도이다.2)2) 조흥식외 2인. 산업복지론. 나남출판. 2002. p.156.
산업재해보상보험(이후 산재보험)이란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를 신속․공정하게 보상함으로써 피해 근로자 및 그 가족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보험 중의 하나로 여기서 “업무상 재해”란 업무상 사유로 발생한 재해로 해석된다. 즉 노동환경이나 조건으로 어떤 현상이 돌발적으로 일어난 직업 질병(직업병)이라고 한다.3)3) 황은성.「한국 산업재해 보상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9. p.5.
이러한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에 대하여 국가가 개입하여 신속․공정한 보상을 하기 위하여 사업주로 하여금 의무적으로 보험에 가입하게 하고 각 업종별로 재해율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무과실책임의 원칙에 따라 보험료를 징수함으로써 재해를 입은 근로자에게 일정한 기준에 의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