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과 이론
|
|
|
|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과 이론
1. 교육과정사회학의 전개
학교에서 가르치는 지삭과, 가르치는 과정을 사회학적으로 탐구하는 교육과정사회학은 1970년대 초 영국에서 등장한 ‘교육과정 교육사회학’에서 비롯되었다. 교육과정 교육사회학자들은 학교가 가르치는 지식과 교육의 과정이 사회적 불평등을 매개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지적하면서 교육사회학자들이 과거에 도외시해 왔던 교육과정에 탐구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호어 : 이제까지의 교육불평등에 대한 대책이 제도의 개혁에만 의존함으로써, 학교가 학생들에게 실제로 가르치는 내용인 교육과정과 같은 실제적 핵심은 문제 삼지않고 방치해 두었다고 지적했다.
영 : 교육과정사회학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은 영국에서 이 분야를 개척하는 데 뚜렷하게 공헌하였다. 지식을 사회적 조건의 구속을 받지 않고 절대적인 자율성을 갖는, 따라서 고정적이며 불변적인 어떤 것으로 보는 전통적인 지식관에 이의를 제기한다. 지식의 ‘계층화’와 사회적 계층화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을 강조하였다. 즉, 지식이 어떤 기준에 의해서 계층화되며, 각기 다른 지식에 부여되는 사회적 평가와 그 지식들을 소유하게 됨으로써 얻게 되는 사회적 보상이 결정되는 배경을 탐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1970년대 영국의 교육체제, ①공식적으로 평가되는 내용 ②가장 우수한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내용 ③우수집단 학급의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교육과정영역에 높은 지위가 부여되며, 동시에 그러한 내용을 가르치는 교사에게도 눈에 보이지 않는 높은 지위가 부여된다. 현재 높은 지위가 부여되고 있는 지식의 특성, ①문자로 표현되는 것 ②지식을 알게 되는 과정과 제시되는 방법 및 평가 방법이 개인주의적인 것 ③학습자의 직접적인 체험적 지식과는 유리된 추상적인 지식 ④실생활과의 관련이 없는 학문지향적 내용등을 들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