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와영양
리포트 > 생활/환경
김치와영양
한글
2011.03.11
3페이지
1. 김치와영양.hwp
2. 김치와영양.pdf
김치와영양
맛과 영양을 살리려면....

김치는 무, 배추 등의 주재료에 젓갈,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갓등의 부 재료를 섞어 담가 유산균 발효에 의해 익힌다. 열량이 많은 식품은 아니지만 비타민 A,B,C 와 무기질이 칼슘, 칼륨, 철분 등이 많이 들어있다. 특히 김장 김치는 젓갈과 해삼물 등 단백질 부재료를 넣음으로써 영양이 풍부하다. 또 완 전히 익은 김치류 에는 유산균이 많으므로 요구르트의 성능을 능가한다. 식후의 따듯한 물 한 과 김치 국물 한 숫갈은 소화제의 역할을 한다. 각 식 품의 성분을 알아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도록 한다.

배추를 적당히 저렸다가 배추소를 넣는데 소에 젓갈을 넣으면 단백질등의 영 양이 더욱 풍부해진다. 또한 생새우나 생태,생굴을 넣으면 김치의 단백가가 높아지면서 무기질 함량이 풍부해져 김치의 감칠맛이 더해지고 국물도 매우 신선하면서 맛이 좋아진다. 이와 같은 점을 응용하여 총각 김치의 멸치 젓과 생태를 넣어 영양과 맛을 높인다. 또, 김치 국물에 참쌀풀을 넣으면 당화작용 을 일으켜 감칠맛을 낸다. 그리고 오래 두고 목을 김치는 좀 짜게 담구어야 하고 마늘의 양이 생강의 두배정도 되야 하며 파도 실파를 사용한다.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화학 조미료는 섬유질을 부드럽게 하는 성질이 있어서 김치를 빨리 무르게 하여 부패시 킨다. 다시 말해, 김치 중에 들어있는 영양소를 파괴 하여 많은 영양 손실을 가져오게 하므로 화학 조미료는 조금만 넣도록 해야 한다.

김치의 영양가

....
생활, 환경
김치의 역사와 영양 및 발효 과정 김치축제_활성화_방안
사업계획서 - 현대인의 건강을 위한 웰빙 요식.. 식품 영양학 - 치즈에 관한 조사
[영유아 교수방법론] (주제:건강한 몸과마음) .. [영유아 교수방법론] 연간보육 계획안, 월간 보..
브랜드마케팅전략성공사례,글로벌마케팅전략성.. 삼양라면광고발표자료
[영작] 김치 소개하기 [김치] 김치의 어원과 종류, 김치의 관광상품화
발효식품학 - 김치 발효와 미생물에 관해 김치균의관찰
김치의 역사, 정의, 종류, 유래, 시대별 김치, .. 김치
 
노인학대의 개념 및 유형, 학..
우리나라 서양음식문화의 변천사
서양음식역사 & 한국의 서양요..
주방의 메뉴경영관리
사회복지프로그램계획서(시설..
[사회복지개론]사회문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