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구술사와_우리시대의_인류학
|
|
|
|
구술사와 우리시대의 인류학
1. 歷史의 兩意性과 인류학
2. 현대 生活歷史 연구의 적실성
3. 현대 生活歷史의 物證
4. 歷史小說과 現在小說
5. 口述史의 중요성과 인류학
6. 結語
1. 歷史의 兩意性과 인류학
역사가들이 역사를 서술(historiography)할 때 인류학자들은 문화를 서술(ethnography)하였다. 역사가들이 他時代의 무한한 事象에서 취사선택하여 역사를 구성한다면 인류학자는 他文化 또는 他民族의 무수한 사상을 취사선택하여 에트노그라피를 작성한다. 그런데 두가지 작업은 독립된 별개의 작업일 수 없다. Sahlins에 의하면 역사는 여러 사회에서 나름대로 문화적으로(문화에 의해)짜여진다. 그 逆의 명제도 타당하여 문화의 틀은 역사적으로 짜여진다. 그렇다고 하여 새삼스럽게 인류학과 역사학 사이의 긴밀한 협동작업을 그가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 문제가 되는 것은 文化라는 인류학적 경헙으로써 歷史라는 개념을 타파하는 일이다. 마찬가지로 역사학적 경험도--구조를 포함하여-- 문화라는 개념을 타파해야 한다. 문화란 본질적으로 과거의 소산이며 과거에 대한 담론은 문화 속의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거기에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엮어내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역사 연구는 문화 연구일 수밖에 없으며 문화 연구와 역사 연구를 구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