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구-사회적 적절성
리포트 > 사회과학
욕구-사회적 적절성
한글
2011.03.11
3페이지
1. 욕구-사회적 적절성.hwp
2. 욕구-사회적 적절성.pdf
욕구-사회적 적절성
욕구 : 사회적 적절성

Ⅰ. ‘욕구’와 ‘바라는 것’의 차이 : 욕구의 속성
‘욕구’(need)의 속성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욕구와 유사한 개념인 ‘바라는 것’(desire)과의 차이를 개념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유용하다.
* 욕구와 바라는 것의 개념 차이 (욕구가 바라는 것보다 중요하다)
① 사람들이 원하는 것 이상의 목표 달성과 객관적인 의미에서의 가치
- 시장기제에서 자원의 배분 : 주관적 → 실제로 그 사람들에게 만족을 주는지의 여부 불확실하다.
∴ 주관적 desire에 의한 자원의 배분이 진정한 복지를 충족시켜 줄 가능성이 적다.
② 목표.
┏ desire에 의한 만족 → 주관적인 이득(benefit)
┗욕구에 의한 해결 → 해악(harm)을 줄이는 것
by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 어떤 재화를 새롭게 얻음으로써 얻는 이득(효용)의 증가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재화를 잃게 됨으로써 사라지는 손실보다 작다.
③ 상대적 긴급성 측면
┏ 상대적으로 긴급하다 : 어떤 욕구가 늦게 충족될 때 그 충족된 가치가 줄어들거나 없어지는 것.
┗ 상대적으로 긴급하지 않다 : 충족이 늦게 되더라고 감소하지 않거나 단순히 연기될 뿐.
ex)┏ 아사 직전의 사람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것 : 긴급
┗ 골프를 함으로써 누리는 효용 : 긴급하지 않음
④ 욕구 해결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바람직한 목표를 이루는 데 필요한 전제조건 or 수단
∴ 중요하다 (단순한 desire의 만족보다)
⑤ 욕구의 해결은 자발적 선택 → 변경하기가 어렵다 → 상대적으로 다른 대안이 적다
∴ desire 보다 욕구를 우선적으로 해결할 필요성이 많다.
⑥ 욕구의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치중립적인 점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⑦ ‘자율’(autonomy)의 측면
- 욕구의 해결을 통해 증가되는 자율 : desire 만족행위를 할 수 있는 전제조건
ex) 절망적인 상황에서의 거래(desperate bidding)

Ⅱ. 욕구의 차원
....
사회과학
욕구 사회적 적절성Ⅱ 비용편익분석 및 기회비용분석
사회복지정책목표로서가치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의의] 사회복지프로그램..
총괄평가에서 중요한 효과성 평가와 효율성 평.. 사례관리의 점검(monitoring)단계
베버리지 보고서(Beveridge Report)가 오늘날 .. 사회복지전달체계 구축의 8가지 주요 원칙에 대..
사회복지정책의 가치(자유, 사회적 적절성)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의 가치인 평등,..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의 가치인 평등,.. 국민연금제도의 기능과 목적
사회복지정책의 기본적 가치에 대해 설명하시오 농심의윤리적활동,농심의사회적활동,농심기업분..
 
인공지능의 개념과 기술과 적..
정치의 삼각형을 설명하고, 저..
다세대 가족치료 사례(보웬의 ..
자원봉사 환경의 변화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편의증..
사회복지 프로포절 계획서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