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직과_품계
리포트 > 인문/어학
관직과_품계
한글
2011.04.21
2페이지
1. 관직과_품계.hwp
2. 관직과_품계.pdf
관직과_품계
관직(官職)과 품계(品階)

관직이란 정부(政府) 직제(職制)에 의한 직책을 말하는 것이며, 품계란 관리의 등급으로 위계(位階) 또는 관계(官階)라고도 한다. 이는 중국 주(周)나라 때부터 시행되었으며, 우리 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 조선 말까지 이어져 내려 왔다.

품계는 시대에 따라 다르며 문관과 무관에게 주는 명칭도 각기 달랐고,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의 향직에도, 9품의 상․하 구분이 있었다. 신라 때는 골품제도를 바탕으로 한 귀족 연합의 전통 위에 형성되어 1등급인 이벌찬(伊伐 )에서 17등급인 조위(造位)까지로 구분하였고, 고려 때는 골품제를 폐지하고 당나라 제도를 본받아 중앙집권적 3성(省) 6부(部) 체제를 확립하였다. 이는 종1품(從一品)에서 종9품(從九品)까지 인데 3품까지는 정․종(正․從) 2등급으로, 4품부터는 다시 상․하로 구분하여 총 29계(階)였으며, 이외에 왕의 최고 고문격인 삼사(三司)․ 삼공(三公)직이 있었는데, 이들은 정1품이었다.
조선 초기에 고려의 제도를 답습하다가 점아 왕의 권한이 켜지면서 강력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갖추고 정1품에서 정9품까지 18계의 관계로 하였다.

1. 관직의 명칭

원래 관직의 정식 명칭은 계(階: 품계의 명칭)․사(司: 소속된 관청)․직(職: 맡은 직분) 순으로 쓰는데, 예를 들면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은, 대광보국숭록대부란 계(階)를 말하며 품계의 명칭이고, 의정부는 사(司)를 말하며 소속된 관청을 말하며, 영의정은 직(職)을 말하며 직분이 된다.
....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 조선의 관직제도와 품계
조선시대 관직 및 품계 지방쓰는법
고려시대노비의역사1 상궁들의 품계
재물조사총괄표(저장품및소모품) 조선시대 인사행정 - 조선시대의 인사행정제도
롤리타렘피카,글로벌기업,마케팅전략,마케팅,브.. 지방쓰는법(아버지,어머니의예)_지방문안의예
조선 왕의 모든것 한방샴푸 댕기머리 제품분석과 댕기머리 마케팅..
국제경영팀프로젝트 핫식스 마케팅 사례연구
 
인간성격이론에 따른 자기 분..
영어 영문 - 흑인 영어[black ..
17-19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사..
정조의정치
국화와칼(베네딕트)
국화와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