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론]사회보장기본법_정리
논문 > 사회과학분야
[사회복지론]사회보장기본법_정리
한글
2011.04.08
6페이지
1. [사회복지론]사회보장기본법_정리.hwp
2. [사회복지론]사회보장기본법_정리.pdf
[사회복지론]사회보장기본법_정리
[사회복지론]사회보장기본법 정리
사회보장기본법
제정 95.12.30 법률제5134호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법은 사회보장에 관한 국민의 권리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정하고 사회보장제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복지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기본이념)
사회보장은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을 할수 있도록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국민 개개인이 생활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도와 여건을 조성하여, 그 시행에 있어 형평과 효율의 조화를 기함으로써 복지사회를 실현하는 것을 기본이념으로 한다.

제3조 (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사회보장이라 함은 질병 ․ 장애 ․ 노령 ․ 실업 ․ 사망등의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모든 국민을 보호하고 빈곤을 해소하며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사회보험 ․ 공공부조 ․ 사회복지서비스 및 관련복지제도를 말한다.

2. 사회보험이라 함은 국민에게 발생하는 사회적 위험을 보험방식에 의하여 대처함으로써 국민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를 말한다.

3. 공공부조라 함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하에 생활유지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제도를 말한다.

4. 사회복지서비스라 함은 국가 ․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부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모든 국민에게 상담 ․ 재활 ․ 직업소개 및 지도 ․ 사회복지시설이용등을 제공하여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제도를 말한다.

5. 관련복지제도라 함은 보건 ․ 주거 ․ 교육 ․ 고용등의 분야에서 인간다운 생활이 보장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각종 복지제도를 말한다.

제4조 (다른 법률과의 관계)
사회보장에 관한 다른 법률을 제정 또는 개정하는 경우에는 이 법에 부합되도록 하여야 한다.

제5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
사회보장의 개념 정의 사회보장의 형태
사회복지의 법적 개념(헌법상, 사회복지사업법..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법(사회보장기본법, 국민기..
사회보장기본법의 목적과 개념, 사회보장의 대.. 사회복지법제- 사회보장기본법에 대하여 주요내..
사회보장기본법의 주요 내용 사회보장기본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사회보장기본법의 기본개념과 적용범위, 목적과.. 우리나라의 사회보장기본법의 주요내용
사회보장 기본법 사회보장과 사회복지의 비교
[사회복지법] 사회복지법의 개념과 체계, 사회.. 사회보장기본법
 
우리사회의 사회보장이 나아가..
사회보장기본법의 문제점 및 ..
[소비자심리학] 매슬로우의 욕..
동기부여의 정의와 이론(매슬..
[경영]맥그리거 X . Y 이론에 ..
XY 이론
사회복지실천론 - 로저스 인본..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이론
[레포트] 사회복지학 - 사회복..
Elord 저자기호법에 관한 고찰
비정규직 법 시행 성과에 대한..
현 여성복지의 자리매김
문화마케팅으로본동아시아의한..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