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관직 및 품계
리포트 > 인문/어학
조선시대 관직 및 품계
한글
2011.04.25
3페이지
1. 조선시대 관직 및 품계.hwp
2. 조선시대 관직 및 품계.pdf
조선시대 관직 및 품계
조선시대 관직 및 품계

 
正一品官:
대군(大君),(君=正一品부터 從二品까지 있음) 공신(功臣)및 왕비의 아버지는 부원군(府院君)이다.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 도제조(都提調=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사 부(師 傅=세자시강원의 관직으로서 영의정, 좌우의정이 경임하는 관직임)
위(尉=왕의 사위로서 공주에 장가든 자에 정一품 혹은 종一품을 제수한다.)
감 사(監事=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從一品官:군(君),위(尉), 좌찬성(左贊成), 우찬성(右贊成), 판사(判事), 제학(提學=규장각의 관직), 사부(師傅=세손 강서원의 관직)

正二品官:
군(君),위(尉=옹주에게 장가든 자에게 처음 제수한다), 좌참찬(左參贊), 우참찬(右參贊), 판서(判書), 대제학(大提學), 지사(知事), 판교(判校=규장각의 관직), 판윤(判尹), 좌빈객(左賓客), 우빈객(右賓客), 도총관(都摠管).

從二品官:
군(君), 참판(參判), 대사헌(大司憲), 동지사(同知事), 관찰사(觀察使=도의감사), 좌윤(左尹), 우윤(右尹), 직제학(直提學=규장각의 관직으로서 정三품까지 있음), 유수(留守),
목사(牧使)=단 광주(廣州)목사에 한함.

제학(提學), 좌부빈객(左副賓客), 우부빈객(右副賓客), 제조(提調), 좌유선(左諭善), 우유선(右諭善=좌우유선은 정三품까지 있음),

대장(大將=정三품까지 있음), 부총관(副摠管), 중군 (中軍=정三품까지 있음),사(使=무관),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관찰사가 겸임하기도 함).

방어사(防禦使=종三품까지 있음),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 겸사복장(兼司僕將), 내금위장(內禁衛將), 별장(別將=용호령).

正三品官:
....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 조선의 관직제도와 품계
관직과_품계 조선시대 인사행정 - 조선시대의 인사행정제도
1. 조선시대 한국 여성들의 삶에 대해 조사해보.. 1. 제8장 민장 속의 다양한 모습을 읽고 조선시..
홍대용의 청장년 시기 조선시대의과거제도
조선시대 외교 정도전의 생애, 관직 개혁 정치, 조선의 건국, ..
[한국사]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고려시대의 점복속
삼국사기 - 김부식 사상가..
 
인간성격이론에 따른 자기 분..
영어 영문 - 흑인 영어[black ..
17-19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사..
정조의정치
국화와칼(베네딕트)
국화와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