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체사상
리포트 > 사회과학
북한 주체사상
한글
2011.05.23
8페이지
1. 북한 주체사상.hwp
2. 북한 주체사상.pdf
북한 주체사상
북한의 당-국가체제와 ‘주체사상’

1. 북한 정치체제의 특징

◦ 북한 정치에 대한 이해는 북한 사회 전반을 이해하는 필수
- 북한은 정치적 논리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 즉 경제 영역이나 일반 주민들의 생활, 문화, 교육, 군사, 대외정책 분야 등 모든 분야가 정치에 의해 지도되는 사회
∙ 상품의 가격이나 생산량: 당이 책정한 가격과 목표량에 따라 생산
※ 장마당의 경우는 예외
∙ 교육: 교과내용의 1/3은 김일성․김정일의 사상
∙ 외교관들의 발언: 김일성․김정일의 교시에 기초하여 나옴

◦ 정치체제란 정치적 행위를 규율하는 규범, 법적 제도, 관행의 총체를 의미
- 쉽게 말해서 정치“시스템”을 의미
cf. 남한의 정치체제
대의제적 민주주의 제도를 채택하면서도 완고한 소집단주의(“패거리주의”)와 강력한 유교적 위계질서에 의해 권력의 집중과 분산이 끊임없이 발생
→ 붕당적 민주주의 정치체제

◦ 북한 정치체제의 특징은 “수령”의 절대성, 일당 독재, 정치의 무책임성, ‘예외국가’

① “수령”의 절대성을 잘 드러내는 것이 “수령의 유일적 령도체계”

- 북한 당국이 스스로 규정하는 바대로 “수령”에 의해 사회가 전일적으로 지도됨.
- 수령은 “뇌수”로서 모든 권위와 권력의 근원
※ ‘유일사상체계 확립 10대 원칙’(☞부록 참조)
- ‘10대 원칙’으로 해서 “수령”의 절대성이 단순히 수사(修辭)만이 아니라 실제로 사회를 규정하는 살아 있는 규범이자 모든 사람들의 행동준칙으로 됨.
- 정치기구들은 수령에 대해 충성경쟁을 벌이며, 수령은 기존의 지휘계선보다 사인화된 계선을 통해 분할통치(divide and rule) 구사

☜ “수령제 정치체제”: 스즈끼 마사유끼(鐸木昌之,聖學園대 교수)
“유일지도체계”: 이종석(세종연구소 연구위원)
....
주체사상과 ‘수령 영도 체계’ 주세사상의 형성과정) 주체사상 형성배경과 체..
[북한 사회복지] 북한의 사회복지 전개과정과 .. 북한의주체사상
북한 정치 체제, 특징, 현황, 활동, 형성, 권력.. 북한의 주체사상을 기술하고 비판적 견해를 논..
북한의 이데올로기 북한의이해,북한의 주체사상,남북관계와역사,대..
주체사상의 변용적 담론 북한학 - 북한의 선군정치에 관해서
주체사상과 정치담론에 대해 논하시오 북한인권 실태 및 사례분석 / 북한인권에 대한 ..
북한이해의 활성화 방안 북한의 문화 전반에 대한 검토
 
청소년기 성적 발달(청소년의 ..
독거 노인 실제 사례관리 보고..
조직문화의 개념과 기능, 자신..
인간의 생애주기별 욕구에 따..
접수, 사정, 계획, 개입, 평가..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