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중세 국어 <-오/우->의 기능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1. 머리말
2. ‘-오/우-’의 문법적 기능 규명
3. ‘-오/우-’의 문법적 성격
4.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4.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우-’의 기능
4.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우-’의 기능
5. 후행 어미와의 결합 양상
5.1. ‘-오/우-’와 수의적으로 결합하는 어미
5.2. ‘-오/우-’와 결합하지 않는 어미
5.3. ‘-오/우-’와 항상 결합하는 어미
6.-오/우-의 변천
6.1 관형화 구성에서의 ‘-오/우-’의 소멸
6.2 명사화 구성에서의 ‘-오/우-’의 소멸
7. 맺음말
※ 참고자료 |
|
|
|
1. 머리말
15세기 우리말에는 현대 국어에서 찾아볼 수 없는 ‘-오/우-’의 사용을 볼수 있는데 이의 용법에 대하여 여러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왔으나 아직도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동안의 ‘-오/우-’에 대한 논의의 대부분이 추구하였던 주제는 ‘-오/우-’의 기본적인 의미, 기능이 무엇이냐에 있었다고 할수 있다. 그들에 의해 밝혀진 ‘-오/우-’의 의미와 기능은 ‘-오/우-’를 다룬 논의의 수만큼이나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문제에 대한 접근 태도로 보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형태론적인 접근 태도와 의미론적인 접근 태도가 그것으로, 전자는 허웅(1958, 1959, 1963ㄱ․ㄴ, 1964, 1965)으로 대표되는 인칭․대상 활용설이고, 후자는 이숭녕(1959, 1960, 1964)으로 대표되는 의도법설이다. 이들 이외에도 많은 논의가 ‘-오/우-’의 주변에서 있어 왔다.
여기에서는 여러 연구자들의 ‘-오/우-’에 관한 문법적 기능 규명과 그 성격을 간략히 정리해 보고 선어말 어미 ‘-오/우-’의 기능과 ‘-오/우-’와 후행 어미와의 결합 양상, ‘-오/우-’의 변천을 살펴보기로 한다.
2. ‘-오/우-’의 문법적 기능
‘-오/우-’ 연구자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오/우-’의 문법적 기능의 규명에 있다. ‘-오/우-’의 기능을 파악하려는 많은 연구가 있었는데, 이들의 결론을 한마디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
|
|
|
|
고영근(1997),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 집문당.
국립 국어 연구원(1996), 『국어의 시대별 변천 실태 연구1』
손주일(1994), 「‘-오/우-’ 연구 현황과 과제」, 『인문과학연구』32, 강원대.
손주일(1994), 「15세기 국어의 선어말어미 ‘-오/우-’에 대한 통사론적 연구 」
http://oc.kangwon.ac.kr/~sulb/sjistudy/endou.htm.
손형주(1993), 「15세기 국어 ‘-오/우-’의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안병희․허경(1998), 『국어문법론Ⅱ』, 한국방송통신대.
이기문(1983), 『국어사 개설』, 탑 출판사.
이기백(1992), 『국어학강독』, 한국방송통신대.
전정례(1995), 『새로운 ‘-오/우-’ 연구』, 한국문화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