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학] 소득재분배의 이론적 근거
리포트 > 경영/경제
[재정학] 소득재분배의 이론적 근거
한글
2011.07.12
3페이지
1. [재정학] 소득재분배의 이론적 근거.hwp
2. [재정학] 소득재분배의 이론적 근거.pdf
[재정학] 소득재분배의 이론적 근거
소득재분배의 이론적 근거

1. 공리주의적 견해…Edgeworth
(1) 가정
① 사회내의 총소득은 일정하게 주어져 있음
② 개인들의 소득의 한계효용은 체감함
③ 사회후생은 사회구성원들의 효용의 합으로 측정됨
← 공리주의적 사회후생함수
(2) 설명
① 사회내의 총소득은 의 길이로 일정하고, 개인 A, B의 소득의 한계효용곡선이 아래 그림과 같이 주어져 있다고 가정
② 만약 최초의 배분상태가 E점이라면 개인 A의 소득은 , 개인 B의 소득은 로 측정
③ 이제 부자인 개인 B의 소득 중 EF만큼을 A에게로 재배분한다면 사회후생은 a의 면적만큼 증가

소득
효용
개인 A
개인 B
EF만큼 증가
EF만큼 감소
(a+b)만큼 증가
b만큼 증가
사회전체
불변
a만큼 증가

④ 이와 같이 두 사람의 소득의 한계효용의 크기가 서로 다르다면 소득재분배를 통하여 사회후생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
⑤ 개인 A와 B의 소득이 한계효용곡선이 아래 그림과 같이 주어져 있다면 최적소득분배는 두 사람의 한계효용곡선이 교차하는 G점에서 결정
⑥ 만약 사회구성원들의 소득의 한계효용이 동일하다면 완전히 균등한 소득분배가 이루어졌을 때 사회후생이 극대화됨
(3) 한계
① 소득재분배가 경제적 효율성 저하를 초래하여 소득의 크기가 줄어들 수도 있음
② 소득의 한계효용이 체감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

2. 최소극대화원칙…Rawls
(1) 내용
① 롤스는 그의 ‘사회정의론’에서 원초적 상태(original position)라는 가상적 상황을 설정하고 소득재분배의 정당성을 주장
....
[재정학] 소득분배 및 사회보장 [재정학] 소득분배
[재정학] 소득재분배정책 사회복지법제 - 사회보험법이란
사회보험법의 의의 전략적 가족치료에서 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
사회보장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와 경제성장..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의 소득재분배 ..
소득재분배에 대한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소득.. 사회보험의 기본원칙
[재정학] 재정의 본질과 재정의 기능 사회복지정책의 소득재분배 효과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보장의 기능과 역할Ⅱ 사회복지정책의 소득재분배 효과
 
[게슈탈트치료] 펄스의 생애, ..
[빈곤의 원인] 빈곤의 원인에 ..
생태체계이론(생태체계이론의 ..
사회복지실천모델(4체계모델,..
체계론적 사고의 기본 논리
[중독과 가족] 공동의존의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