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중세국어의 음운 현상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Ⅰ. 머리말
Ⅱ.1. 음운의 탈락(脫落)
자음 탈락(子音脫落)
모음 탈락
Ⅱ.2. 음운 도치(音韻倒置)
단음 도치(單音倒置)
음절 도치(音節倒置)
Ⅱ.3. 활음조(滑音調, euphony) 현상
활음조(滑音調, euphony)
‘ㄷ’의 유음화 현상(流音化現象)
호전(互轉)
Ⅱ.4. 복합적 관계로 인한 어형(語形) 변화
유추(類推)
민간어원설
부정 회귀(不正回歸)
오분석(誤分析)
상통(相通)
혼태(混態)
모음 교체(母音交替, ablaut)
설측음화(舌側音化)
Ⅲ. 마무리
<참고문헌> |
|
|
|
Ⅱ.1. 음운의 탈락(脫落)
자음 탈락(子音脫落)
어떤 어절 안에서 원래 있던 자음(ㄱ, ㄹ, ㅎ, ) 이 다른 형태소를 만나거나 같은 형태소를 만나면 탈락하는 현상이다.
‘ㄱ’이 ‘ㄹ’과 ‘ㅣ’모음 아래에서 탈락하는 현상.
‘ㄹ’ 아래에서 탈락하는 현상.
몰개>몰애>모래, 멀귀>멀위>머루
`ㅣ`모음 아래에서 탈락하는 현상.
고>오, 뷔거>뷔어, 곳>옷
‘ㄹ’이 ‘ㄴ’, ‘ㄷ’, ‘ㅅ’, ‘ㅍ’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ㄴ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아님>아님, 노니>노니
ㄷ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굴돗>구돗, 길돗던지>기돗던지, 말디>마디
ㅅ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몴결>믓결, 밠바당>밧바당, 븘곳>븟곳
ㅍ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앒>앞, 골다>고프다
‘ㅎ’이 울림소리와 울림소리 사이에서 탈락하는 현상.
흐다>오다, 불휘>불위>뿌리
모음과 모음, ‘ㄹ’과 모음 사이의 ‘“이 더욱 약화되어 탈락하는 현상.
쉽이>수>수이, 곱이>고>고이 |
|
|
|
|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7.
김종훈 외 4인, 한국어의 역사, 대한교과서, 1998.
박병채, 국어 발달사, 세영사, 1989.
이기문, 국어사 개설 개정판, 탑출판사, 1986
이숭녕, 중세국어문법, 을유문화사, 1981.
허웅, 국어음운학, 정음사, 1982.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