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 가치 노동 동일 임금관련 외국의 입법례
리포트 > 법학
동일 가치 노동 동일 임금관련 외국의 입법례
한글
2011.08.29
2페이지
1.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관련외국의입법례.hwp
2.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관련외국의입법례.pdf
동일 가치 노동 동일 임금관련 외국의 입법례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관련 외국의 입법례

1. 프랑스

- 노동법전 L. 122-3-3조
(제1항) 명시적인 법률규정이 없는 한, 기간을 정하지 않은 근로계약의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법률규정 및 협약상 규정 그리고 관행상의 규율은 기간을 정한 근로계약의 근로자에게 적용되며, 다만 근로계약의 종료에 관한 규정은 배제된다.
(제2항) L. 140-2조에서 말하는 보수로서 근로자가 기간을 정한 근로계약에 따라 받는 보수는 동일한 사업장에서 동일한 능력을 가지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간을 정하지 않은 근로자가 수습기간을 거친 후에 받는 보수액에 미달할 수 없다.

- 노동법전 L. 212-4-5조
단시간근로자는 법률이나 기업 내지 사업장별 단체협약에 의하여 전일근로자에게 인정되는 권리를 향유한다. 다만, 협약상 권리에 있어서는 협약에서 정한 특수한 형태(modalités spécifiques)를 고려한다.
단시간근로자의 시용기간(période d essaie)은 전일근로자의 시용기간 보다 더 길게 할 수 없다.
단시간근로자의 임금은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시간과 기업내의 근속기간을 고려하고 같은 능력(qualification)으로 당해 사업이나 사업장에서 일하는 전일근로자의 임금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
동일 가치 노동 동일 임금의 원칙과 명목임금에.. 외국의 공무원 노동기본권입법례
조세범죄의 유형과 관련한 외국의 입법례 특수 고용 노동자와 관련된 프랑스의 입법례
성에 따른 동일 가치 노동의 판단 기준 직무급 임금제도 개요
직무급 임금체계관리
독일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입법례 프랑스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입법례
미국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입법례 일본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입법례
[고용관계]한국의 노동유연성 부족문제(노동시.. [고용관계]한국의 노동유연성 부족문제(노동시..
 
[법학] 전세권
범죄자 얼굴공개 찬성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의 확정에..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적격에 대..
민사소송에서 성명모용소송의 ..
조합 활동과 노무 지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