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개요
리포트 > 법학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개요
한글
2011.08.29
2페이지
1. 통정한허위의의사표시개요.hwp
2. 통정한허위의의사표시개요.pdf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개요
민법상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

Ⅰ. 관련 법조항

* 제 108조 [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 ]
(1) 상대방과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는 무효로 한다.
(2) 전항의 의사표시의 무효는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Ⅱ. 개요

1. 통정한 허위표시는 의사와 표시의 不一致의 유형이다.
2. 통정허위표시의 의의
상대방과 通謀해서 하는 진의아닌 의사표시를 말한다. 통정허위표시를 요소로 하는 법률행위는 假裝行爲가 된다.

Ⅲ. 요건

1. 의사표시가 있을 것
사회통념상 제3자가 보아서 인정할 만한 외형이 존재하여야 한다. 예컨데 증서작성, 등기나 등록 등.
2. 內心의 효과의사와 外部의 표시행위가 일치하지 않을 것.
법률효과와 이에 의해 달성하려는 경제적 목적이 모순된다고 하여 모두 허위표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신탁행위나 양도담보는 허위표시가 아니다.
3. 표의자는 위의 불일치를 알고 있을 것(이 점이 錯誤와의 차이점이다).
4. 상대방방과 통정하였을 것(이 점이 비진의표시와의 차이이다).
5. 허위표시를 하게 된 이유나 動機는 불문한다.
그러나 사실상 대부분은 제3자를 欺罔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 진다.

Ⅳ. 효과

1. 당사자의 사이의 효과
....
민법상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 전반에 대한 검토 [법학] 의사와 표시의 불일치
비정상적 의사표시1 통정허위표시에 관하여
민법상 법률행위와 대리 사직서 수리행위의 사실상 해고 여부 및 그 경계
인수합병과 근로관계 승계시 근로관계 [민법]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채권자 취소권의 객관적 요건으로써 사해행위 [법학] 법률행위의 무효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의 대항력에 대한 연구 민사소송에서의 합의관할
채권법상 채권자 취소권의 요건 의사표시의 효력발생시기와 수령능력
 
[법학] 전세권
범죄자 얼굴공개 찬성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의 확정에..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적격에 대..
민사소송에서 성명모용소송의 ..
조합 활동과 노무 지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