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민법 공무원과 민간자선사업가 모두 빈민에 대한 물질적 ․ 도덕적 원조에 주
력했을 뿐 빈궁의 진정한 원인에는 무관심했던 1880년대에 인보운동(the settlement house movement)이라는 새로운 시도가 나타났다. 인보운동을 주도한 인사들은 COS운동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스스로 자선사업가가 아니라 사회개혁가라고 생각 했다. 이들은 물질적 구호보다는 가난의 원천을 제거하고, 도시생활과 노동조건
을 개선하는 데 관심이 켰으며, 이를 위해서는 계급과 인종 간의 격차를 좁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한 마디로 인보운동은 구제나 부조보다는 사회개혁을
강조했던 것이다.
그리고 당시는 유럽에서 이민 온 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어 도시 주택문제와
도시빈민의 생계문제가 매우 심각했다. 1860-1900년까지 이민은 약 천4백만 명
에 달했다. 주로 남동부 유럽에서 온 이들은 농장을 구입하거나 공장에 투자할
능력을 결여한 아주 가난한 농부들로서 도시에 소계한 공장의 비숙련 노동자로
또 도시빈민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도시의 과밀, 주택 부족, 주거 위생문제,
저임금 등 당시의 사회문제는 구조적이고 복합적이었다. 인보운동은 이러한 사
회경제적 조건들을 개선하기 위한 개혁운동으로 출발했다(Trattner, 1999 : 166).
COS운동이 사회적 다윈주의에 따라 계급의 차이를 인정하는 데서 출발했다면,
인보운동은 계급격차의 완화를 지향했다. 인보운동은 부유한 사람이 예수의 살
을 본받아 빈민과 취약계층이 사는 곳으로 이주하여 양 집단이 함께 살면서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