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리의 모델은 국가-사회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사회운동이 발생하는 과정을 매우 일반론적 차원에서 요약해 준다. 따라서 이 모델을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 첫째, 틸리는 동원모델에서 사회운동이 발생하는 계기를 어떤 이익이나 불이익을 공유한 사람들간에 공동의 정체가 형성되는 경우로 한정하고 있으나, 정치적 사회운동의 경우 이 요소 외에 정치체제의 정당성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정당성이란 기존하는 정치체제가 지배의 제도로서 가장 적절한 제도라는 믿음을 의미하는데 만약 현존의 권위주의 체제에 대해 국민들이 이런 믿음을 갖지 않을 때는 바로 이 이유 때문에 엄청난 국민적 저항의 계기가 마련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