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심청전(판소리계 소설)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Ⅰ.서론
Ⅱ.根源과 形成過程
Ⅲ.人物
Ⅳ. 構成
Ⅴ.主題와 思想
Ⅵ.文學史的 意義
Ⅶ.교육적 활용 방안
Ⅷ.결론
◇참고 문헌◇ |
|
|
|
Ⅰ.서론
<심청전>은 조선 후기에 나온 國文小說로서 작자와 저작 시기를 분명히 알 수 없으며, <춘향전>, <흥부전> 등과 함께 판소리로 불려지면서 전승되었기 때문에 `판소리계 소설`이라고도 불린다. <심청전>은 조선 중기 이후에 생성되어 說話 형태로 전승되어 오기도 하고, 판소리, 무가, 창극, 소설, 연극, 영화, 오페라의 형태로 변형되어 전해지고 있다. 현재 목판본과 활자본, 현대 소설로 개작된 소설, 판소리 사설, 창극, 연극의 대본 등을 합하면 異本의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이다. 異本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심청전>이 대중들에게 사랑을 받았다는 증거이다.
따라서,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은 여러 측면에서 學界의 주목을 받아 왔으며 서로 다른 學說이 존재해 왔다. 根源說話에 대한 연구, 판소리 창 및 소설 異本의 系統에 대한 연구, 主題에 대한 연구는 모든 판소리계 소설이 공유하는 연구 쟁점이기도 하다. 여기서는 판소리계 소설인 심청전의 形成 過程을 살펴보고, 文學的 特性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根源과 形成過程
1. <심청전>의 형성에 직접 간접의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이는 `根源說話`는 국내외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견된다. 가난한 딸이 눈먼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종으로 몸을 팔았다는 <삼국사기>의 `孝女知恩說話`나, 바다에서 희생 제물로 던져졌다가 용왕의 딸과 혼인하여 고국으로 돌아왔다는 <삼국유사>의 `居陀知說話` 외 태몽설화, 용궁설화, 盲人得明說話, 巫歌와 관련된 설화 등 국내의 설화들은 일찍부터 <심청전>과의 부분적 유사성 때문에 근원설화로 추정되어 왔다. 국외의 설화로는, 불교적 신통력과 孝行으로써 아버지의 눈을 뜨게 했다는 인도의 `傳童子說話`, 악신에게 희생제물로 바쳐진 처녀가 위기를 모면하고 |
|
|
|
|
|
김광순,「한국고소설사」, 국학자료원, 2001.
김주한, ‘심청전의 효에 대한 연구’, 영남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사재동,「불교계 국문소설의 연구」, 중앙문화사, 1994.
이헌홍,「고전소설강론」, 세종출판사, 1999.
장효현,「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조희영,「龍鳳論叢」,전남대학교출판부, 1977.
최운식,「심청전연구」, 집문당, 1997.
최운식,「한국고소설연구」, 보고사, 2001.
화경고전문학연구회,「고전소설연구」, 일지사, 1993.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