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
리포트 > 사회과학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
한글
2012.10.12
5페이지
1.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2.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
8․15 해방 이후 1947년 3․1시위 직전까지의 제주도 상황과 조선공산당 활동

1. 8․15 해방 - 1947년 3․1시위 직전의 제주도 정치․사회 상황

일제의 항복이 발표 결정되었으나, 제주도에 남아 있던 일본군이 철수하기 시작한 것은 태평양전쟁이 끝난 지 68일이나 지난 1945년 10월 23일부터였다. 제주도는 아직 일본군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지 못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주도민은 일제하 민족해방운동의 조직 경험과 방법을 토대로 자치적인 치안조직 및 행정·경제조직의 결성에 착수하였다.
우선 도민을 방어하기 위한 자위기관으로서 자주적으로 청년대나 보위대를 편성하였으며, 관공서, 학교, 기업체 등에서는 ‘--- 관리위원회’ ‘--- 복귀위원회’를 만들어 도민들의 손으로 접수·관리·운영되었다. 이를 모태로 45년 9월 10일 제주도 건국준비위원회(위원장 吳大進)가 결성되었다. ‘제주읍 인민위원회’를 시작으로 각 인민위원회가 조직되고 마침내 건준의 발전적 해체로 9월 22일 ‘제주도 인민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이 결과 제주도는 1945년- 46년 사이에는 인민위원회의 완전한 통제하에 있었다.
이것과 병행하여 청년·부녀·문화운동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한림면 청년동맹의 결성을 위시하여 9월말에는 각면의 청년단체를 총망라한 통일기구로서 ‘청년동맹 제주도위원회’가 조직된다. 10월초에는 조선공산당 제주도위원회가 결성되었는데, 제3차 조선공산당사건(1928년)에 연루되어 투옥된 바 있던 金正魯가 주도하였다고 한다. 연말에 이르기까지 부녀위원회, 교육자동맹, 소비조합, 관리조합, 협동조합, 제주문화협회 등 각종 외곽단체가 광범위하게 조직되었다.
....
1947년 3.1시위부터 제주 4.3항쟁 발발 직전의 .. 제주4.3 보고서
사회주의 보급과 조선공산당 조선 공산당팀
인샬라! 나는 지금 아랍으로 간다 조선 공산당
대학생문화와_촛불집회의_변화양상(작문) [촛불집회] 촛불집회의 시작과 경과 과정 및 주..
세계화와 외식문화 - 고기국수와 누른국사, 동.. [지역사] 제주도의 역사
[한국사] 제주도 4.3사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원,달러 환율 추이 및 변동요인
중국 공산당 기업분석
 
헤드헌팅아웃소싱
정신건강의 개념과 이론적 관..
사회복지수급권에 대하여 구체..
[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연구레..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연구 PP..
인지이론 주요개념, 성격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