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의 농촌 문제와 교회의 책임
1. 들어가며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농업국가였다. 농촌사회는 연대가과 공동체 의식이 강한 전형적인 공동사회(Gemeinschaft)였다. 국가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이 축소되었다 하더라도 농업은 우리 삶의 기본적인 생계문제를 책임지는 소중한 산업이다.
2. 농촌사회의 특성
농촌이란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이다. 농촌인구는 농촌에 사는 인구를 말한다. 농업인구는 농업에 직접 종사하는 인구를 말한다. 농가인구는 그 가호가 농사를 짓고 있을 때 그 가족을 망라하여 지칭할 때 쓰는 말이다. 농촌과 도시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샌더스는 세 가지를 소개한다. 첫째는 도농이분법적 접근방법이다. 두 번째 도농 연속적 접근방법이다. 세 번째로 도농 공생적 접근방법이다.
한국의 농민들은 보수적이고 전통주의적이며, 숙명적, 체념적, 미신적, 종교적이다. 그들은 상부상조적이기도 하고 관용적이고 타협적이며 권위주의적이다.
3. 한국농촌의 현실과 문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