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은 제주도민에게는 아픈 손가락이다. 그리고 잊혀 지지 않을 상처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젊은 세대들에게는 점점 생소한 하나의 사건이 되어간다. 4.3을 기억하고 그 시대에 희생되어야했던 사람들을 기억하기위해, 그리고 모두가 알아야 할 이 사건을 나부터 이번 과제를 기회 삼아 4.3을 더욱 깊숙이 알아보고자 한다.
4.3이란
광복이후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와 미군정의 강압이 계기가 되어 제주도에서 일어난 민중항쟁. 4.3특별법 에 의하면 제주 4.3사건이란 1947년 3월1일을 기점을 하여 1948년 4월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
[4.3사건의 도화선-3.1 발포사건 발발]
1947년 3·1절 기념대회가 각 읍·면별로 치러졌고, 제주 북국민학교에는 제주읍·애월면·조천면 주민 3만여 명이 모였다. 제주읍에서는 북국민학교 행사가 오후 2시에 끝나자 곧바로 가두시위가 벌어졌다. 관덕정을 거쳐서 서문통으로 시위대가 빠져나간 뒤 관덕정 부근에 있던 기마 경찰의 말굽에 어린아이가 다치는 사태가 일어났다.
흥분한 관람 군중들이 돌을 던지며 항의하자 곧바로 관덕정 부근에 포진하던 무장경찰이 총격을 가했다. 눈 깜짝할 사이에 구경나온 민간인 6명이 사망했다. 이들 가운데는 15세 초등학생과 젖먹이 아이를 가슴에 안은 채 피살된 여인도 있었다.
이 발포 사건으로 제주도 내 민심은 극도로 악화되었다. 그러나 미군정과 경찰은 사태 수습보다는 시위 주동자를 검거하는 일에 주력하였다. 이에 좌익 진영은 대책위원회를 조직하고, 미군정과 경찰의 만행을 폭로하며 희생자 구호금 모집에 돌입했다. 그리고 3월 10일 제주도청을 시발로 총파업이 이어졌다. 도청 등 관공서는 물론 은행·회사·학교·운수업체·통신기관 등 도내 166개 단체에 41,211명이 파업에 들어갔고, 현직 경찰관까지 파업에 동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