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수탈론
리포트 > 사회과학
식민지,수탈론
파워포인트
2013.04.05
29페이지
1. 식민지,수탈론.pptx
2. 식민지,수탈론.pdf
식민지,수탈론
수탈론의
진실
목 차
1. 수탈론과 식민지근대화론에대한
일반적인 견해
2. 식민지 수탈론 VS 근대화론
3. 수탈의 매커니즘
4. 식민지 경제 발전 근거
5. 해방 후 경제 성장과의 연관
6. 내재적 발전론과 그에대한 반박
7. 조선 후기 자본주의 맹아론과 그 대안
8. 식민지기와 한국정치
9. 식민지기와 사회문화
10. 비교사적 시야
1.수탈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일반적인 견해
식민지 시대가 근대화는 어떤 연관이 있다고 생각 하시나요
2.식민지 수탈론 VS 근대화론
1. ‘식민지 수탈론’ 이란

일제에 식민지지배를 당하면서 우리나라는 경제발전보다는 수탈을 당했다는 입장
일제가 수많은 조선의 토지, 미곡, 사업자원, 인력을 수탈했다는 주장
내재적 발전론, 자본주의 맹아론과 연결하면서 조선후기 이미 자본주의의 싹이 트고
있었기에 구지 일본이 아니라도 우리 스스로 자본주의를 이룰 수 있었다고 주장
한국 학자들의 95%이상이 동의하는 입장

2. ‘식민지 근대화론’ 이란

한국의 경제발전은 일제 식민지시기의 공업화에 의해 비롯되었다는 주장
최초로 한국인 경제사학자인 ‘안병직’이 이 이론을 제기
일제 시대 일본이나 친일파들이 주장했던 일본민족시혜론과 일맥상통
이 이론에 동의하는 이들은 내재적 발전론이나 자본주의 맹아론을 비판
‘영구병합’을 위한 근대 이식

일제가 조선을 식민지로 지배한 기본 목적 : ‘영구병합’
‘영구병합’이란
조선을 영구히 일본의 영토로 삼겠다는 의미
조선의 사회, 경제, 정신, 문화를 일본과 같게 만들려고 함

1912년 ‘조선민사령’ 이란 법 공포

‘조선민사령’ 이란
일제강점기에 조선인에게 적용되었던 민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기본법규

신분제의 해체
....
한국경제의 역사적 이해-식민지 근대화론적 측.. 식민지 수탈론, 역사, 근대화론, 농업부문의 식..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국제정세 식민지 종속형 자본주의, 식민지 반봉건 사회론..
식민지적 경제성장의 의미, 유산, 해방 후 경제.. 산업화와 근대화
식민지 근대화에 대한 분석적 비판 [문장과이해의표현] 김하기(김영)의 식민지 소..
일제의 강점과 민족해방운동의 전개 한국경제사
해방후친일파의재등장구조 일제강점과 민족해방운동
김유정에 대하여 외세로 인해 왜곡된 한국사
 
스포츠 마사지에 대해서
상담 분석 - 영화 ‘굿윌헌팅(G..
[빈곤의 개념] 절대빈곤과 상..
전이와 역전이를 정의하고 경..
학교밖청소년(개념, 실태, 원..
종군위안부문제에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