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의도로,지리학
|
|
|
|
영남의 도로의 지리학
(1) 한국의 도로
1) 들어가며
도로가 현대사회에서 사회간접자본으로서 산업과 경제의 발달에 커다란 영향력을 지니고 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전근대사회에서도 오늘날과 같은 정도는 아니었지만 정보의 전달과 물자의 운송, 사람의 왕래가 대개 도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물자의 유통이나 정보의 전달은 그 시대의 도로망, 도로율, 도로의 너비 등에 의해 제약받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물자유통이나 정보전달의 필요성이 도로에 관한 제반 사항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과학기술의 본격적인 발전이 있기 전까지는 기술수준의 제약은 도로의 발달을 가로막는 중요한 원인이었다. 한국은 잘 알려져 있듯이 서구처럼 과학혁명이 일어나지도 않았고, 그 결과 19세기말까지 산업혁명이 일어나지도 않았으며, 그 성과가 서구로부터 전달될 일도 거의 없었다. 당연히 도로의 발달은 어느 정도 정체상태에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우리는 이번 영남지역의 답사를 통하여 한국도로교통의 발달과정을 되짚어보며 그 과정에서 우리나라가 일찍이 도로교통이 발전하지 못한 원인과, 동시에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온 원인을 알아보고,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도로’ 즉, ‘길’이 갖는 의미의 변화 또한 알아보는 기회를 갖고자한다.
2) 도로교통의 발달과정
① 조선시대
조선은 중앙집권국가로서, 한양을 중심으로 한 방사상, 직선형 교통로를 가지고 있었다. 조선시대의 도로제도는 역과 역로(驛路)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는데, 역은 공문서의 전달, 관리의 내왕과 숙박, 관물(官物)의 수송 등을 돕는 국가기관이었다. 30리마다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고, 역게는 역리·역졸·노비·역마 등과 역의 운영에 필요한 토지가 등급에 따라 할당되었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