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교수님께 여러번 자문을 구해서 직접 작성한 레포트 입니다. 잘되어서 뿌듯하고 학점도 잘 받았습니다.
|
|
|
|
Ⅰ. 서론
Ⅱ. 역사 속의 가족
1. 가족생활의 발달
2. 결코 존재하지 않았던 길 : 전통적 가족에 대한 진화
3. 전 세계적 가족 유형의 변화
4. 최근의 발전
Ⅲ. 영국 사회의 가족과 친밀한 관계
1. 일반적 특성
2. 가족 유형의 발달과 그 다양성
3. 가족 내부의 불평등
4. 친밀한 관계 사이의 폭력
5. 가정 폭력
6. 이혼과 별거
7. 가족생활에 대한 변화하는 태도
8. 새로운 파트너 관계와 가족
9. 전통적 결혼과 가족생활 이외의 대인적 삶의 유형
Ⅳ. 가족과 친밀 관계에 대한 이론적 관점
1. 기능주의
2. 페미니즘적 접근
Ⅴ. 결론 : 가족 가치에 대한 논쟁
※ 참고문헌 |
|
|
|
Ⅰ. 서론
사랑에 빠지는 것은 인간 감정의 보편적 현상으로 생각하는 성향이 있다. 개인적이고 성적인 인간관계를 원하는 커플의 경우, 마침내 결혼하고 가족을 꾸리는 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간주된다. 오늘날 우리는 어렵고 익숙하지 않은 요동치는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우리는 우리의 개인적 선호와는 무관하게 격동과 더불어 제기되는 기회와 위험을 함께하면서 살아가야만 한다. 과거에는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으며 또한 오늘날 다른 사회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는지에 대해 무언가를 알게 된다면 우리 개인적 인간관계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그리고 오늘날 사회 제도로서 가족에 무엇이 전개되는지를 비로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중 략>
7. 가족생활에 대한 변화하는 태도
루빈 연구에 인용된 젊은 집단은 성에 대한 태도, 결혼관, 성 역할 수행 면에서 그들의 부모 세대와 달랐다. 특히 젊은 여성들은 ‘가족에 비중을 두는 만큼 취업을 통해서 자율과 자아 성취를 달성하려는 ‘욕구’와 ‘모험, 흥분, 변화’에 가치를 두고 있었다. 젊은 여성층의 가치는 그 이전 세대에서는 거의 찾기 어려웠던 대물림된 자유 즉, 여성이 취업할 수 있고 출산을 자기 의지로 조절할 수 있는 자유, 남녀 모두가 성취 가능한 이동성, 원하는 대로 자신의 삶을 규정할 수 있는 자유 덕분에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젊은 연령층의 경우 남녀를 불문하고 결혼의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새로운 파트너 관계와 가족
1) 재혼
재혼은 다양한 사유로 발생된다. 통계 수치로 볼 때 재혼 성공률은 초혼율에 비해 낮게 나온다. 두 번 이상의 결혼이 파경으로 끝나는 비율이 초혼 때보다 높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 현실이 두 번째 결혼을 파경으로 끝나도록 운명 지어져 있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이혼 경력자들은 무경험자들보다 결혼 생활에 더 많은 기대를 걸 수 있다. 따라서 초혼 상태의 사람들보다 재혼 생활을 더 쉽게 정리할 수 있다. 재혼 생활을 지속한다는 사실은 평균적으로 초혼 때보다 더 만족감을 얻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중 략>
Ⅴ. 결론 : 가족 가치에 대한 논쟁
우리 모두는 오늘날 대다수가 직면하는 실타래와 같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가족 관계보다 훨씬 더 안정되고 질서가 잡혀 있던 전통적 가족을 원래 위치로 되돌려 놓아야만 한다. 가족은 전체로서 사회에 영향을 끼치는 일련의 추세를 담아내는 합류점이다. 남녀 간에 증진되고 있는 평등함 |
|
|
|
|
|
앤서니 기든스, 사회학개론, 을유문화사
김정옥 외 편저, 결혼과가족, 학지사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통계청 모부자복지법대상 : 가족실태조사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전국 가정폭력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한부모가족지원사업 안내, 여성가족부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