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현시대의 건축은 인간중심의 관계성이 내포된 공간으로 다양한 디지털 매체들을 통해 트랜스액티브 건축을 실현한다. 본 연구 목적은 트랜스액티브 건축의 다양한 사건들 속에 인간 내면의 섬세한 감성 및 다양한 경험과 감동을 유발하여 건축과 소통하는 트랜스포밍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디지털 매체가 본격적으로 발달된 2000년대의 작품을 선정하여 귀납적 사고의 틀을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통해 그 특징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결론 내어진 트랜스포밍 특성은 다음과 같다. 트랜스포밍 공간은 다양한 사건들 속에 인간의 몸으로 세상을 지각함으로써, 공간과 소통하는 관계적 특성을 가진다. 이는 사용자들에게 우연적, 혼성적, 불확정의 모호한 지각적 특징으로 공간은 새로운 종을 탄생시키고 이질적인 것들의 결합을 통해 예측할 수 없는 알로바이오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는 적합성의 의미를 가진 동종성으로 표현되기 보다는 분열적, 비결정적, 이종성, 일시성, 비물질적 특성을 가지며, 과정과 실행을 강조하는 불연속의 형태변이성으로 정의 내려진다. 마지막으로 트랜스포밍은 진화적, 비예측적, 변형적 공간으로 생물학적 외형이나 생명현상을 가진 유기적인 형태로 공간의 무한한 생명력을 지닌 초자연적인 모습으로 본질을 변형시키는 바이오모픽성을 도출한다. 즉, 트랜스액티브 건축의 트랜스포밍 특징은 공간의 예기치 못한 다양한 사건에 따른 가치 있는 경험과 지능적, 감성적인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의 질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트랜스액티브 건축의 다양한 특성 및 가능성을 제시하고 향후에도 인간을 중시하는 트랜스액티브 건축에 대해 진보적인 연구 및 프로젝트들이 지속적으로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
|
|
|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트랜스액티브 건축의 이론적 고찰
2.1. 트랜스액티브와 인터랙티브의 비교
2.2. 트랜스액티브 건축의 의미
2.3. 트랜스액티브 건축의 특징
3. 트랜스포밍의 인식과 접근
3.1. 트랜스포밍의 개념
3..2. 트랜스포밍의 공간 표현 방법
3..2.1 디지털 매체를 통한 ‘능동적 사용
자’로써 공간 참여
3..2.2 감각적 공간 연출을 통한 사용자
의 오감의 자극.
3.3. 트랜스액티브 건축의 트랜스포밍
특성의 분석
4. 트랜스액티브 건축의 트랜스포밍
특성 분석
4.1. 분석의 대상
4..2. 트랜스포밍의 공간 사례분석
4.3. 트랜스액티브 건축의 트랜스포밍
특성 종합
4..3.1. 예측할 수 없는 알로바이오성
4..3.2. 불연속의 형태변이성
4.3.3. 생명력을 지닌 바이오모픽성
5. 결론
참고문헌 |
|
|
|
현시대의 건축은 인간중심의 관계성이 내포된 공간으로 다양한 디지털 매체들을 통해 트랜스액티브 건축을 실현한다. 본 연구 목적은 트랜스액티브 건축의 다양한 사건들 속에 인간 내면의 섬세한 감성 및 다양한 경험과 감동을 유발하여 건축과 소통하는 트랜스포밍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디지털 매체가 본격적으로 발달된 2000년대의 작품을 선정하여 귀납적 사고의 틀을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통해 그 특징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결론 내어진 트랜스포밍 특성은 다음과 같다. 트랜스포밍 공간은 다양한 사건들 속에 인간의 몸으로 세상을 지각함으로써, 공간과 소통하는 관계적 특성을 가진다. 이는 사용자들에게 우연적, 혼성적, 불확정의 모호한 지각적 특징으로 공간은 새로운 종을 탄생시키고 이질적인 것들의 결합을 통해 예측할 수 없는 알로바이오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는 적합성의 의미를 가진 동종성으로 표현되기 보다는 분열적, 비결정적, 이종성, 일시성, 비물질적 특성을 가지며, 과정과 실행을 강조하는 불연속의 형태변이성으로 정의 내려진다. 마지막으로 트랜스포밍은 진화적, 비예측적, 변형적 공간으로 생물학적 외형이나 생명현상을 가진 유기적인 형태로 공간의 무한한 생명력을 지닌 초자연적인 모습으로 본질을 변형시키는 바이오모픽성을 도출한다. 즉, 트랜스액티브 건축의 트랜스포밍 특징은 공간의 예기치 못한 다양한 사건에 따른 가치 있는 경험과 지능적, 감성적인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의 질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트랜스액티브 건축의 다양한 특성 및 가능성을 제시하고 향후에도 인간을 중시하는 트랜스액티브 건축에 대해 진보적인 연구 및 프로젝트들이 지속적으로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
|
|
|
|
|
김무길, 『존 듀이의 교호작용과 교육론』, 도서출판 원미사, 2005
김영석,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20005.
루시 불리반트, 『제4의 공간 대화를 시작하다』, Pixel House, 2008.
밀르데르 피리드먼, 게리 『프랭크 게리가 털어놓는 자신의 건축 세계』,
Architecture+Process, 2010.
박영욱,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향연, 2008.
Vincent, Callebaut, 『Sensual Attraction an Interactive Democracy』, DD, 2002
김정신, 「바이오모픽 건축의 표현특성과 디자인 사고체계의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논문, 2006
김원, 「도시공간에서 현대 건축 외피에 관한 연구 : 인터랙티브적 요소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1
이규홍, 김개천,「마르코스 노박(Marcos Novak)의 트렌스 건축(trans architecture)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2006
이혁찬, 최왕돈, 「현대건축에서 사용자의 개념 및 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건축학회, 2008
임지훈, 「디지털 건축의 디자인 경향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3
정순복, 「존 듀이의 미학에서 ‘트랜스액션(Transaction)'의 3중 구조와 예술의 소재지」, 한국미학회, 1995
최희랑, 「유동적 개념의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체지각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05
허재한, 「트랜스 액션 관점으로 본 현대 건축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08
http://www.artcom.de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