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교사와 학부모의 인간관계 형성
|
|
|
|
교사와 학부모의 인간관계 형성
아동은 가정에서 태어나서 가족구성원과의 상호관계를 통차여 사회화되어가며, 5, 6세가 되면 그의 생활에 또 다른 중요한 사회기관인 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그 때부터 아동의 성장 ․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아동이 사회구성원인 성인으로 성장하는 오랜 과정에 있어서 가정과 학교는 용기를 북돋아주고, 도야 교육하는 책임을 함께 지게 된다.
학교가 아동에게 많은 영향력을 주고 아동의 행동을 변화시킴에 있어 학교는 결코 단독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가정과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어느 경우든 아동들에 대한 학교의 영향은 가정과 고립하거나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으며, 아동을 교육함에 있어서 학교와 가정이 그 책임을 공동으로 져야 함은 자명한 일이다.
부모가 자녀를 교육한다는 것은 부모의 의무이고 존중할 만한 것이다. 교육의 전문가인 교사는 부모의 '교육권'의 행사에 대해서 그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공교육'을 통해 조언 ․ 상담할 필요가 있다. 부모의 '교육권'은 혈. 연적 ․ 신분적 관계에 있는 자녀에 대해서 행하는 본래적 ․ 의도적인 가정교육인데 비해, 교사의 '교육권'은 교육전문직으로서의 교육자적 입장에서 '아동 ․ 학생'에 대한 집단적 교육에 의한 공교육의 행사이다. 이 양자의 교육은 상호 간섭하고 대립하는 관계가 되어서는 아니 되며, 상호 조화 ․ 통일하면서 입체적 ․ 총합적으로 실천해 가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양자가 각기의 입장에서 그 교육적 기능의 수행을 존중하고 상호 협동함으로써, 아동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학교 교육에서 아동의 성취를 도울 수 있는 자원인사로서 부모의 참여가 강조되고 있다.
학교 교육에 부모 참여의 필요성에 대해, 핸더슨(Henderson, 1981:3)은 부모는 공공교육에 큰 자원으로서 거대한 지식 저장소로 남아있다. 학교가 부모를 무력하고 중요하지 않은 존재로 여기고 학교가 부모의 교육적 관심과 태도의 개발을 증진시키지 못한다면, 결과적으로 아동들의 성취는 저지된다고 하였고, 하이머스(Hymes, 1959:9)는 가정과 학교와의 관계형성의 주요한 목적으로, 첫째로 교사와 부모 사이에 교육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가정과 학교가 긴밀한 관계를 가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모와 교사가 아동의 성장을 조력하려면 무엇보다도 부모와 교사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가장 일반적인 교사와 부모 간의 상호작용은 학교에서의 아동의 학업성적과 행동에 관한 정보교환에 있다. 부모들은 아동이 학교에서 무엇을 배우며, 어떻게 배우고 있으며, 교사는 누구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