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체계론적 사고의 기본 논리
|
|
|
|
체계론적 사고의 기본 논리
체계는 우선 전체로서 유기체의 성질을 갖는다. 유기체한 생명을 가진 생명체와 같이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생명 유지나 발전과 같은 목적을 향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살아 움직이는 모든 물체는 기본적으로 유기체가 될 수 있으며, 생명은 없지만 그 안에 여러 복합적인 요소가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고 환경에 대응하면서 자체의 목적을 향해 나아가는 조직체들도 유기체로 분류된다.
여기에는 태양계나 생태계가 포함되며, 인위적으로 구성된 조직들도 이런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가족이나 집단. 그리고 조직과 지역사회는 하나의 유기체와 같은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유기체적인 체계는 그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의 집합이자 복합체이다. 즉, 인간이라는 체계가 완성되려면 신경계, 근 ․ 골격계, 순환계, 호흡계 등과 같은 부분들이 존재해야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여러 부분이 합쳐지면 하나가 되는데 이런 상태를 전체성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단순히 여러 부분들이 합해졌다고 해서 전체가 되고 유기체로서 기능하는 것이 아니다. 즉, 여러 부분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고 서로 의존적인 관계여야 가능하다. 여기에서 체계의 상호 교환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체계 내의 부분요소들은 상호 긴밀히 연계되어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부분요소들 간의 의존적 상호관계로 말미암아 구성요소들은 전체의 존속에 영향을 미치고, 역으로 전체의 존속은 부분들에 의지하며. 하나의 구성요소가 변하면 다른 것이 변하는 관계적 성격을 띤다. 만일 다른 요소들에 의해서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거나 반대로 다른 요소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는 요소가 있다면, 그러한 요소는 정의상 체계에서 배제된다.
예를 들어, 인체를 구성하는 여러 체계 중 하나인 소화기체계는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등의 부분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요소들이 상호 협력하여 인체로 들어온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그 속에서 영양분을 섭취하는 소화기능을 수행해 낸다. 소화기체계의 경우 입 속에서 충분히 씹힌 음식물이 식도를 통해 위에 도달하면 위의 소화 작용이 쉽게 이루어지지만, 급하게 넘긴 음식물은 위와 장에 부담을 주게 되고 배탈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소화기체계를 구성하는 하위단위 중의 일부가 제대로 역할을 수행하지 않으면 나머지 다른 하위단위에 과부하가 걸려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되며, 그 결과 소화기체계 전체의 기능이 약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생물학적 체계 개념을 원용하여 사회현상을 분석하고 진단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체계론적 관점이다. 따라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