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체계이론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서술하고 본인의 의견을 피력하시오
사회체계이론은 모든 조직의 수준과 인간조직 등 사회체계에 일반체계이론의 관점을 적용한 이론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지역사회 등 다양한 체계의 수준이 가지고 있는 복잡하고 폭넓은 사회체계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개인들이 공동의 장소와 문화를 공유하고 상호작용하는 사회도 하나의 체계로서 체계의 속성을 지니므로 일반체계이론으로 사회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사회체계이론에서는 인간을 외부체계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상호의존적인 역동적 사회체계의 일부분으로 본다. 인간은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환경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적절하게 자신의 행동을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존재라는 것이다. 인간과 사회체계들은 상호 작용하며, 각각의 체계들은 성장을 위하여 다른 체계를 필요로 하는 공생적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다.
일반체계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처음으로 도입된 것은 1956년 루츠(Lutz)에 의해서였고, 1960년대 후반 들어 일반체계이론의 개념과 기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일반체계이론은 유기체와 환경 간의 체계적 상호작용, 상호 관련성을 전체성, 상성, 개방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분석하고 있다. 1940년대, 버탈란피(Bertalanffy)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된 이래 1960년대에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한 일반체계이론은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이러한 요소들 간 상호작용의 속성을 이해하고 복잡한 체계의 관계속성 또는 체계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일반체계이론에 의하면, 인간은 하나의 통합된 체계로서 외부체계와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상호 의존하는 존재이다. 즉, 인간은 자신의 욕구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환경을 수정하기도 하며, 때로는 환경이 요구하는 방향으로 자신이 행동을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인간과 환경은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에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단선적 관계가 아닌 양자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순환적 관계로 형성된 전체라는 것이다. 전체로서 인간을 보는 전체론적 관점(wholistic person)은 인간과 환경을 단순하게 원인-결과라는 인과적 관점에서 탈피하여 인간과환경의 두 체계를 상호 보완적 체계로 파악함으로써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개인과 체계가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데보다 초점을 둔다.
일반체계이론의 가정은 다음의 몇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사회체계는 하나의 단위 또는 전체를 형성하는 상호 관련된 성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경계는 사회체계에 하나의 체계로서 가져야 하는 정체감과 초점을 부여한다. 셋째, 모든 체계는 다른 체계의 하위체계인 동시에 상위체계일 수 있다. 넷째, 한체계의 변화는 전체 사회체계의 속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와 동시에 전체 사회체계의 변화는 체계의 부분에
...(이하 내용 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