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가족수준의 개입에 대한 레포트 자료.
|
|
|
|
가족수준의 개입
사회복지사가 기능적 가족과 역기능적 가족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은 가족에 대한 개입 시 가족문제에 대한 사정과 개입의 초점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 골덴버그와 골덴버그(GoIdenberg & GoIdenberg, 1980)는 기능적 가족과 역기능적 가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성공적이고 효율적으로 잘 기능하는 가정에서는 가죽성원 간의 관계가 친밀한 동시에 개인적 자주성을 존중하고 개성과 가족 간의 독립성을 인정해 준다. 역기능적 가정에서는 개인차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몰고 가는 경향이 있다.
건강한 가정에서는 가족성원 사이에 경계가 적절하게 명확하며 각자 자기가 느끼고 생각하는 바를 수용할 줄 안다.
분리와 상실도 현실적으로 수용되어 가족성원이 성장과 발달, 노쇠와 죽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변화에 적응할 줄 안다. 유능한 가정에서는 유머, 애정, 온정, 희망을 자유롭고 직접적으로 표현할 줄 안다.
권력을 소유하고 가족성원의 개성을 존중하며, 분리와 상실에 대한 현실적 대처능력이 길러진다. 그리고 가족 성원은 온정적이며 풍부한 감정표현과 변화에 대한 높은 수용력을 나타낸다.
역기능적 가정에 대하여 베버즈(Beavers, 1977)는 가족기능의 효율성을 이해하기 위한 잣대로 엔트로피라는 체계개념을 도입하였다. 엔트로피란 어떤 사물이 혼란 상태로 빠져 들어가려는 경향을 나타날 때 쓰는 용어이다.
따라서 엔트로피가 낮은 가정일수록 질서가 정연한 가정이라고 할 수 있다. 가족체계를 포함한 모든 체계는 어느 정도의 혼란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에 모두 어느 정도의 엔트로피를 가지고 있다.
베버즈(Beavers)는 폐쇄적 가족체계일수록 엔트로피가 증대된다고 한다. 개방적 체계는 자기경계선 내에서 엔트로피가 낮고 보다 조직화된 구조를 만들기 위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그는 가족기능의 수준을 최상, 적절, 중간, 경계선, 심한 장애의 5개 수준으로 나누었다.
모든 가족은 양극단의 연속선상의 어느 위치에 있으며 약간 역기능적인 중간범위의 가정이 최상, 또는 적절한 기능을 하는 가정보다 엔트로피가 높아 일상적 기능에 고통과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심각한 장애를 가진 가정에서는 폐쇄적(혼란되고 경직되어 외부세계와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베버즈(Beavers)는 이러한 가정
...(이하 내용 생략)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