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A국의 생산가능곡선은 AA '이며, B국의 생산가능곡선은 BB '가 된다.
A, B두 나라가 두 생산 요소(노동과 자본)를 투입하여 두 재화(X재 : 노동집약재, Y재 : 자본집약재)를 생산한다고 하고, A국은 B국에 비해 노동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나라이고 B국은 A국에 비해 자본이 풍부한 나라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노동이 풍부한 A국에서는 노동집약재인 X재의 생산이 유리하고 자본이 풍부한 B국에서는 자본집약 재인 Y재의 생산이 유리하게 되어 각각 특화하여 교역하게 될 것이다.
헥셔-오린 정리의 제1명제에 의하여 무역이 실시되면 결국 국가 간에 생산요소의 이동이 없어도 양국의 생산요소가격이 균등화된다는 이론이다.
헥셔-오린 정리의 제2명제즉 요소가 격균등화 이론에 의하면, 국제무역의 실시는 생산요소의 국제적 이동이 없더라도 국가 간에 생산요소의 가격을 균등화시킨다.
그러나 무역이 실시됨으로서 A국은 비교우위인 자본집약재에 특화하고, B국은 노동집약재에 특화함으로서 서로 교역하게 된다.
|
|
|
|
하벌러는 기회비용의 개념을 생산가능곡선(ProductionPoss ibilities Curve)에 응용하여 리카도에 의한 비교우위의 원리를 더욱 구체화시켰는데, 생산가능곡선이란 일국의 가용 생산요소를 총동원하여 생산할 수 있는 두 재화의 집합의 궤적을 말한다.
우120단위의 생산이 가능하다면, 영국의 생산가능곡선은 <그림>과 같이 표시된다.
그림> 생산가능곡선의 원리
그림에 의하면 영국은 포도주만을 생산할 때에 60단위(W) 또는 직물만을 생산할 때에 120단위(C)를 생산할 수 있으며 A점과 B점에서와 같이 두 재화를 모두 생산할 수도 있다.
그림> 생산가능곡선과 무역이익
헥셔-오린 정리의 내용은 두 가지 명제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요소 부존 이론으로서 국가 간에 생산요소의 부존 상태가 각각 다르고 또 각재 화 생산에 투입되는 생산요소의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국가 간에 비교생산비차가 발생한다는 이론이고, 다른 하나는 요소가 격균등화 이론으로 요소 부존 이론에 의하석 무역이 실시되면 국가 간에 생산요소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국가 간에 요소의 상대가격이 균등화되어 간다는 이론이다.
A, B두 나라가 두 생산 요소(노동과 자본)를 투입하여 두 재화(X재 : 노동집약재, Y재 : 자본집약재)를 생산한다고 하고, A국은 B국에 비해 노동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나라이고 B국은 A국에 비해 자본이 풍부한 나라라고 가정한다.
헥셔-오린 정리의 제1명제에 의하여 무역이 실시되면 결국 국가 간에 생산요소의 이동이 없어도 양국의 생산요소가격이 균등화된다는 이론이다.
그러나 실증 분석 결과 헥셔-오린 정리에 의거 교역 상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본이 풍부한 미국은 자본집약재를 수출하고 노동집약재를 수입했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오히려 정반대의 검증 결과를 얻게 되었다.
그가 산출한 자료인 <표>에 의하면, 미국은 노동자 1인당 자본장비가 수출산업이 $ 14,015이고 수입대체산업은 $ 18, 184이기 때문에 미국의 수출사업은 수입대체산업에 비해 덜 자본 집약적(노동집약적)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미국과 같이 자본이 풍부한 국가는 자본집약재를 수출할 것이라는 헥셔-오린 정리에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1/헥셔-오린 정리의 이론적인 한계와 통계상의 오류2/미국민의 자본집약재에 대한 수요 편향 3/국가마다 다른 생산함수 4/노동집약재에 대한 미국의 수입규제5/미국 노동생산성의 우위 6/제3의 생산요소 영향 등을 지적하고 있다.
헥셔-오린 정리의 제2명제즉 요소가 격균등화 이론에 의하면, 국제무역의 실시는 생산요소의 국제적 이동이 없더라도 국가 간에 생산요소의 가격을 균등화시킨다.
경영학-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
|
생산, 국, 재, 자본, 노동, a, 생산요소, b, 이론, 무역, 되어다, 국가, 의하다, 집약, 두, 헥셔, 린, 정리, 재화, 간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