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적장애 학생들은 계획되고 목적이 뚜렷한 교수를 요구한다.
삶의 질준거 : 학생들에게 교수된 기술들이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인가?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내용의 특수성은 일상적인 생활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기술이나 기능을 지적장애 학생에게 가르칠 때에는 핵심적인 내용을 명확하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
특히 지역사회 안에서의 이동기술은 지적장애 학생의 생활기능의 향상과 직업기능을 지도하기 위한 기초적인 지원이다.
많이 지적장애 학생들은 사회적 상호작용 및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를 필요로 한다.
지적장애 학생들은 보통 교과 영역의 교수를 받는다.
많은 지적장애 학생들은 전환 및 지역사회 생활기술에 대한 교수를 필요로 한다.
|
|
|
|
II.교육 내용
지적장애 학생이 주로 학습하는 특수학교 교육과정은 초․중등교육법 제22조 제2항에 의거하여 고시한 것으로, 특수교육진흥법 제10조에 의해 특수교육 대상자가 취학하고 있는 유치원, 초․중등학교, 특수학교의 교육 목적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며, 초․중등교육법 제59조에 의거하여 일반학급과 특수학급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자는 물론, 특수학교 및 순회교육을 실시하는 학교 등에 취학 중인 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하여 편성․운 영하여야 할 학교 교육과정의 공통적 ․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특수학교 교육과정은 발달지체 아동을 위한 '기본교육과정'을 활동 중심의 기본적 과정으로 깔고 있으면서, 그 위에 감각장애와 신체장애 아동을 위한 10년간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을 설정하고 있으며, 고등학교 2~3학년 과정에 다양한 선택 중심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기본 교육과정은 훈련 가능 지적장애와 심한 정서장애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교급별(초․중 ․고 등)과 학년별 기준에 의한 교육과정 개념을 탈피하여, 활동 중심 교육과정(개인생활, 가정생활, 학교생활, 지역사회 생찰, 직업생활, 여가생활 등)으로 12년간을 하나의 학교교육체제로 보고 교육과정의 계속 성과 계열성을 강조하고 있다.
기본 교육과정은 정신연령에 따른 발달과업을 고려하는 동시에 생활 경험(영역별 ․위계별)을 중심으로 3단계.6 영역으로 구성하여 교육과정을 수준별로 계열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나 기능을 지적장애 학생에게 가르칠 때에는 핵심적인 내용을 명확하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가르치기 위한 교육과정 중에 하나를 기능적 교육과정이라고 하며 이것은 지적장애 학생에게 일상생활을 위해 필요한 실제적인 기술들에 초점을 맞춘 교육과정이다.
많은 독립생활기술들은 구체적으로 교수될 필요가 있는 반면 다른 독립생활기술은 강화될 필요가 있다.
특히 지역사회 안에서의 이동기술은 지적장애 학생의 생활기능의 향상과 직업기능을 지도하기 위한 기초적인 지원이다.
많이 지적장애 학생들은 사회적 상호작용 및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를 필요로 한다.
많은 지적장애 학생들은 전환 및 지역사회 생활기술에 대한 교수를 필요로 한다.
교사가 지원하는 수준은 기술이 전체적으로 가르쳐질 때 과제 분석된다.
최대 촉구에서 최소 촉구 양식은 교사가 최대한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학생이 그 기술을 배워감에 따라 지원의 정도를 점차 줄여나간다.
최소 촉구에서 최대 촉구 양식은 최소한의 교사 지원으로 시작하여 학생이 학습한 증거를 나타내지 않으면 지원을 점차 늘려나간다.
교수 접근은 문제 행동을 행동적 실수로 취급한다.
기능행동 사정은 학생의 문제 행동에 의해 주어지는 목적이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행동중계들은 문제행동의 기능과 연결될 때 대부분 효과적일 것이다.
간격 사정체계는 고정된 시간 안에 한 행동이 일어나는지 여부를 기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 행동의 심리학/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대왕사 /2012
인간 행동과 사회환경-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
|
교육과정, 학생, 학교, 기술, 교수, 위, 지적장애, 교육, 생활, 특수, 별, 기본, 기능, 사회, 행동, 초, 지원, 중심, 포함, 성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