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자녀 교육<결혼 이주민 여성의 자녀를 기준으로>
리포트 > 사회과학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결혼 이주민 여성의 자녀를 기준으..
한글
2024.05.15
6페이지
1. 다문화 가정 자녀 최종본.hwp
2. 다문화 가정 자녀 최종본.pdf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결혼 이주민 여성의 자녀를 기준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I. 서론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에 관한 문제제기

II. 다문화 2세대가 겪고 있는 문제
1. 다문화 2세대가 겪고 있는 교육문제
1) 언어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2) 경제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3) 제도적 측면의 문제점
2. 교육문제에 대한 개선방안
1) 언어적 측면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2) 경제적 측면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3) 제도적 측면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3. 다문화 교육의 해외 사례

III. 결론 및 참고문헌
I. 서론
한국사회는 1990년 대 이후 결혼이주여성 증가와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로 인해 다문화 가정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조영달·구정화 외 6명,『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p.24.
여기서 다문화 가정이란 국제결혼 또는 이중 문화가정, 서로 다른 인종의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를 중점으로 하여 혼혈인가족 등으로 불리던 국제결혼가족의 새로운 개념이다. 박문각, 『최신 시사상식』, 시사상식 편집부, 2014.
이후 발생할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원활한 사회화를 돕기 위해서는 다문화 1세대에 편중된 지원 사업 정책을 다문화 2세대의 교육지원사업으로 일부 전환 할 필요가 있다. 박인옥, 「강원도 다문화가정의 미취학자녀에 대한 교육지원 실태조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그러므로 다문화 가정 2세대가 겪고 있는 교육문제에 초점을 두고 어떤 부분을 인지해야하고 어떻게 도움을 주어야 할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통계에 따르면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의 비율은 2008년 2.9%, 2009년 4.3%, 2010년 4.3%, 2011년 4.7%, 2012년 4.7% 등으로 증가 추세다. 신세아 기자, 「신생아 20명중 1명 혼혈, 다문화학생도 5만명 넘어서…」, 『키즈맘』, 2014.07.30.
또한 한국인 여성과 결혼한 외국인 남성은 결혼 이민자 중 대략 25%를 차지하고,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외국인 여성은 7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가 외국인인 결혼 이주여성의 자녀의 교육문제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었다.


Ⅱ. 다문화 2세대가 겪고 있는 문제
1.다문화 2세대가 겪고 있는 교육문제
다문화가정, 결혼 이주민,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사회복지, 다문화
경기도다문화교육센터, 『다문화대안학교의 추진현황과 발전방안』, 2012.10.11.
권향임·김현옥, 「다문화가정지원제도의 개선방안」,『21세기사회복지연구』, 2012, pp.5-30
박문각, 『최신 시사상식』, 시사상식 편집부, 2014.
김춘진,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의 의미』, 國會報 통권466호, 2005, pp.41~43.
김승권, 「한국 다문화 가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pp.18
김포시건강가정지원센터·김포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 「2013년 사업성과보고서」, pp.24~33.
김재우·박재성 외 5명,『이주아동 교육권 현황 및 개선방안 토론회, 국가인권위원회, 2010.
박인옥, 「강원도 다문화 가정의 미취학자녀에 대한 교육지원 실태조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배상식, 「올바른 다문화 이해 교육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요」, 『경상북도구미교육지원청』, 2010, pp.24-27.
최동주, 『영국의 이민 관련 제도와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 다문화사회연구 제2권 1호, 2009. pp.126~127.
이경아, 『다문화가정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2, pp.3-4.
정의철,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조영달,『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교육과학기술부, 2011, p.24.
조혜영 외 4명,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실태와 교사·학생의 수용성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07년도 협동연구사업』, 2007, pp.5~17.
장혜경, 『주요 국가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감사 통권 제108호, 2010, p30.
신세아 기자, 「신생아 20명중 1명 혼혈, 다문화학생도 5만명 넘어서…」, 『키즈맘』, 2014.07.30.
[다문화가정] 다문화 가정의 개념과 유형 및 지.. 사회복지 프로그램 -결혼 이주민 여성의 취업연..
다문화가정 증가배경과 다문화가정 문제점 및 ..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지도 원리와 다문화교육..
다문화가족 문제점과 해결방안 [다문화가족,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체성교육과 생활지도
[다문화가정 아동문제] 다문화가정과 다문화가..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제(다문화가정 아동의 문..
[사회복지조사론] 다문화가정으로 인한 사회적 .. 다문화 가족 아동 복지,다문화가정,가정문제,사..
다문화가정의 개념과 유형 및 문제점, 다문화가.. 여성과 문학 - 다문화 가정의 결혼
이주여성 인권문제실태현황인권침해사례국제결.. 다문화가정 개념과 확산원인,문제점및 해결방안..
 
사회복지의 관한 용어정리와 ..
자원봉사자의 인정과 보상방안
사회문제해결과사회복지정책
공공부조와 사회보험의 차이를..
전세사기 유형과 예방책 연구 ..
노인빈곤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