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목표 달성을 위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노력했던 경험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그 경험을 통해 배운 점을 알려주세요
어려운 문제를 맞닥뜨린 경험과 그에 대한 나의 대처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그 경험을 통해 배운 점을 알려주세요
기존 SNS 연동 방식이 외부 서비스의 API 변경으로 인해 작동하지 않게 되었고, 이미 수천 명의 사용자가 이 기능을 통해 로그인하고 있었기 때문에 빠른 해결이 시급한 상황이었습니다.
NHN에서 서버 개발자로 가장 중요한 자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협업 중 팀원과 기술적 의견이 충돌했던 경험이 있나요?
|
|
|
 |
이후 어떤 프로젝트든 팀원과의 협업을 위해 먼저 '합의된 기준'을 만드는 습관을 갖게 되었고, 이는 제가 서버 개발자로서 기술뿐만 아니라 협업 능력에서도 신뢰를 받는 개발자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SNS 연동 방식이 외부 서비스의 API 변경으로 인해 작동하지 않게 되었고, 이미 수천 명의 사용자가 이 기능을 통해 로그인하고 있었기 때문에 빠른 해결이 시급한 상황이었습니다.
문제는 외부 서비스 측에서 예고 없이 인증 방식과 토큰 정책을 변경하면서 기존 OAuth2.0 방식의 일부 요청이 실패하기 시작했고, 시스템에서는 이에 대한 에러 처리가 되어 있지 않아 전체 서비스 장애로 이어졌습니다.
사용자의 기존 토큰이 만료된 상태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갱신되면, 이전 데이터와의 연결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테이블의 토큰 정보와 연동 계정 데이터를 일괄 갱신해야 했고, 이를 위해 마이그레이션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새 인증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변환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기술역량 못지않게 중요했던 것은 '문제를 추적하는 논리력'과 '두려움 없이 부딪히는 태도'였습니다.
이후 저는 어떤 시스템을 설계할 때에도 '예외 상황'을 최우선 고려하며, 기술문서화와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체계화하는 습관을 들이게 되었습니다.
기술적 전문성은 기본이고, 무엇보다 '예외를 설계하는 힘'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NHN은 게임 서버뿐만 아니라 페이코, 클라우드, 협업도구 등 다양한 플랫폼을 갖추고 있어, MSA 기반의 고성능 서버 구조를 실무에서 경험하고 싶습니다.
특히 이벤트 기반 구조와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 기술을 통해, 실시간 경쟁 게임의 동기화 성능을 최적화하는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
 |
서버, 되어다, 개발자, 기술, 방식, 통해, 경험, 팀, 서비스, 협업, 프로젝트, 설계, 문제, 인증, 구조, 기존, 사용자, 게임, 기반, 시스템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