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카스티야-레온 알폰소 10세의 『성모마리아찬가』(제321편)에 나타난 왕권의 성격 - 치유 능력 논의를 중심으로
|
|
|
|
카스티야-레온 알폰소 10세의 『성모마리아찬가』(제321편)에 나타난 왕권의 성격 - 치유 능력 논의를 중심으로
I. 머리말
8세기 초 이슬람 세력이 이베리아 반도를 장악하면서 촉발된 그리스도교 세력의 재정복(reconquista) 운동은 스페인 중세 사회 구석구석에 영향을 미쳤다.1) 중세 카스티야 왕권의 성격에 대한 논의는 중세 스페인의 독특한 역사적 경험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스페인사 전반에 대해 학자들이 그리는 밑그림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세 카스티야 왕권의 성격과 관련하여 국왕이 초자연적 능력을 지니는 신성한 이미지가 아닌 세속적 성격을 띤다는 주장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이에 따르면 중세 카스티야의 국왕은 잉글랜드나 프랑스 국왕의 특징인 종교적 외피를 두르지 않았고 초자연적 이미지를 결여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은 중세 스페인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입장에 서는 것으로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중세 스페인사 연구의 주류로 자리잡고 있다.2)
최근 이러한 주류적 시각에 맞서 아센시오(E. Asencio)와 니에토 소리아(J. M. Nieto Soria) 등 몇몇 학자들이 여기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논쟁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특히 니에토 소리아(J. M. Nieto Soria)는 중세 카스티야 국왕이 왕권의 선전 도구로서 다양한 종교적 상징들에 기대였음을 밝히며 중세 카스티야 왕권은 신성한 존재로서의 면모를 지녔다고 반박했다.3)
이 논문은 이러한 논의들을 염두에 두고 왕권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치유 능력이라는 왕의 초자연적 의술 시행을 둘러싼 논의를 다루고자 한다. 중세 스페인 사회를 보는 이러한 두개의 서로 다른 시각들은 중세 카스티야 국왕의 치유 능력 여부를 자신의 주된 이론적 근거의 하나로 삼고 있는 만큼 논의의 대립 양상도 첨예하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