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여성노동과 여성빈곤
      
	 | 
       
      
         | 
       
      
      
         | 
       
      
          | 
       
      
        여성노동과 여성빈곤 
 
1. 여성 노동의 특징과 변화 
①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차별은 여성빈곤의 주된 원인이 됨 
② 출산․양육에 대한 책임은 여성에게 경력 단절을 가져옴 
③ 여성 경제활동 증가는 노동시장에서 노동력의 여성화 현상을 가져옴 
④ 여성이 주로 서비스업에 종사함으로써 여성노동의 서비스화가 진행 되고 있음 
⑤ 여성의 대부분이 비정규직으로 고용되어 안정성이 감소하고 있음 
 
1) 여성경제활동참가율의 특징과 변화 
 ⑴ 전반적 경향 
 :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196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해 옴 
 - 1998년 2004년 경제활동률↓ : 1997년 경제위기- 여성의 해고X 구직조차 하지X 비경제활동인구 
 - 혼인상태에 따른 경제활동 참가율 변화 : 미혼여성[기혼여성 위주로 ↑ 
 
 ⑵ 연령계층별 경제활동 참가율(105쪽 표 4-2) 
 : 우리나라는 쌍봉형(20대 참가율↑, 낮아지다가 40대 다시 증가하는 모양)보임. 이는 여성이 노동활동에 있어서 자녀출산 및 양육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함. 
∴ 시대적으로 약간 변화가 있지만, 아직도 자녀양육의 부담이 여성에게 지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연령별 : 15~19세 : 상급학교 진학률 ↑ 경제활동 참가율↓ 
 20~24세 : 지속적 증가/ 경제위기 약간 감소 
- 1990년 이후 자녀 양육기 30~34세: 최저점 - 초혼연령 증가, 노동시장에서 결혼퇴직 관행이 남녀고용평등법 확대로 감소, 반면 자녀양육의 부담은 퇴직 이유가 되고 있음. 
 40세 이후 : 꾸준히 증가 
 45~49세 : 20~24세보다 참가율 높음 
 60세 이상 : 참가율 증가 
 
2) 여성취업구조의 특징과 변화 
 ⑴ 직종별 여성취업자 구조(107쪽 4-3) 
 : 농어업 숙련공의 여성취업자는 크게 감소한 반면 서비스 판매직 등의 여성 취업자들은 크게 증가함.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