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지역 연구 - 일본의 한국인식과 정책
순서 : 1) 한국인식의 기원과 논리
2) 단절기 일본의 한국인식
3) 일방통행기 일본의 한국인식
서론) 1868년 메이지 유신을 통해 근대국가로 탈바꿈하기 시작한 일본 군사력에 의존하며 그 발전을 추구하는 대외정책을 기본노선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기조 위에서 대 조선 정책을 전개했다. 이 때문에 일본의 대 조선정책은 약탈적, 폭력적으로 전개된다.
1875년 윤요호사건과 이에 따른 강화도조약으로 대조선정책을 시작했다. 그러나 조선에 대한 종주국임을 자임하는 청나라 때문에 1894년 청일전쟁 발생(일본승리)
청일전쟁 승리 후 러시아의 간섭으로 인해 조선을 일본의 세력권으로 두는데 실패
러일전쟁을 준비하면서 1902년 영일동맹과 1905년 미육군장관과의 가쓰라·테프트 밀약을 통해 대한보호감독권을 미영 제국으로부터 획득함
1905년 11월 을사조약을 강제적으로 체결하여 외교권을 약탈당함
1907년 헤이그 밀사 사건을 구실삼아 정미 7조약을 체결하여 군대를 해산함(우리나라 군대)
1910년 8월 대한제국을 합병했다.
한일합병에 반대하는 저항운동이 1919년 3·1 독립운동을 계기로 절정에 이르자
일본은 식민지 통합방식을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지로 바꾸고, 일선동조론을 유포함
1930년대 일본은 조선인을 황국신민화하려는 동화정책을 본격화하기 시작함
1938년 제3차 조선교육령에 의한 필수과목에서 한글 제외함
1940년 창씨개명에 관한 법률에 의한 일본식 ‘성’의 의무화 강제조치 등을 단행함
더욱이, 대동아공영권의 건설과 아시아 해방을 위해 태평양 전쟁을 도발했던 일본은 전자의 확대로 심각한 병력부족현상에 직면하자 강제징병과 종군위안부 제도를 실시했다.
이러한 일본의 제국주의적 식민통지는 1945년 8월 15일 패망으로 막을 내리게됨
그 후, 적대적이던 한일관계는 1950년 한국전쟁을 계기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