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민족주의사학
|
|
|
|
제 목 :
과 목 명 :
지도교수 :
학 과 :
학 번 :
이 름 :
제 출 일 :
1910, 20년대 민족주의 사학
― 신채호, 박은식 ―
● 목 차 ●
1. 서론
2. 본론
1) 민족주의 사학의 태동
2) 단재 신채호(申采浩)
3) 백암 박은식(朴殷植)
3. 결론
1. 서론
1910~1920년대의 조선에서는 일제의 식민통치로 인해 우리 민족의 말은 물론 우리 민족의 역사를 배우고 가르치는 것도 거의 불가능했다. 게다가 대한제국 시기의 사서 또한 이미 식민사학에 오염되어 있었기에 이 시기에는 개인의 역사의식과 역사를 알고자 하는 지적 호기심마저도 일제의 식민사학(植民史學) 안에 갇혔다. 이로 인해 당대의 민족주의 사학자들은 식민사학에 대항하여 민족의 자주성과 한국사의 주체성, 그리고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강조하는 민족 독립의 강력한 이념적 기반을 구축하고자했다. 하지만 일제의 식민통치로 인해 조선 내에서는 불가능했고 결국 만주나 연해주 등지로 망명하여 근대사학(近代史學)의 길을 열어나간다. 당시의 많은 역사가들은 우리 민족의 이념적 독립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을 했다. 그래서 이번 발제에서는 사학을 근대적인 학문으로 성립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고 평가받는 단재 신채호와 백암 박은식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다.
2. 본론
1) 민족주의 사학의 태동
당시 조선은 일제의 식민사관에 의해 지배받고 있었다. 일제는 정체성론(停滯性論)1)1) 한국사가 왕조교체 등 제반 사회적·정치적 변동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구조에서는 아무런 발전을 이룩하지 못했으며, 특히 근대사회로 이행하는 데 필요한 봉건사회를 결여했다는 주장이다.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