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 학생운동사
|
|
|
|
◈ 시기구분
◈ 前史. 70년대
◈ 제1기
◈ 제2기
◈ 제3기
◈ 제4기
◈ 제5기
◈ 92년 대선 이후의 학생운동 역사에 대하여
◈ 한국 학생운동사 학습을 마친 후의 토론 과제들
◈ 참고자료 소개
◇ 시기 구분 ◇
前史 (70년대)
제1기. (79년 10.26 - 83년 12월 유화조치)
박 대통령 사망 이후 민주화의 열기 분출, ‘서울의 봄’
광주 봉기의 좌절과 전두환 군사 독재의 테러 통치
광주항쟁으로부터 이후 혁명적 학생운동이 그 좌표로 삼은 핵심적 교훈 도출
단계적 투쟁론, 현장이전론, 준비론에 입각해있던 무림과 전면적 투쟁론, 선도적 대중투쟁을 강조했던 학림간의 논쟁기
무림-학림 논쟁은 「야학비판」과 「학생운동의 전망」 논쟁으로 이어짐
이태복에 의한 전민노련-전민학련의 최초의 정파 : 70년대 남조선적 운동과의 단절을 위해 전위조직과 대중조직이 분리 구축되지 못한 정파 운동이 필연적으로 요구되었던 시대. 혁명적 현실태로서의 정파
제2기. (84년 - 85년)
83년 12월, 학원 자율화 조치 등 유화 국면 도래
85년 총선에서 신민당 선전
유화 국면에 대한 정치적 대응과 학생회 부활 문제에 대한 논쟁으로부터 무-학 논쟁의 계승인 MT-MC 논쟁이 「깃발」의 발간으로 시작됨
학생회의 부활, 최초의 총학생회 연합 운동이 추진됨(전국학생총연맹)
패밀리의 학회와 투쟁체로의 해소.
PO-SYSTEM의 붕괴.
투쟁체 운동의 본격화 속에서 학생운동의 가두전투성과 선도투쟁 기능이 비약적으로 고양
학생운동의 목적의식성 고양. 강력한 조직운동 구현
전학련-삼민투를 통한 85년 학생운동의 좌익적 통일이 이루어짐
기간조직 민주화추진위원회(민추위)에 의해 정파 운동이 최고도에 도달함. 혁명적 현실태로서의 정파
3. 제3기 (86년 - 87년)
전국민적인 개헌 열망의 고조
6월 민주화 항쟁이 6.29 선언으로 종결. 열린 정치공간을 통해 민주노조가 전국적으로 건설된 7,8,9월 노동자 대투쟁이 터져나옴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