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회복지] 한부모 가정에 대해서
|
|
|
|
한부모 가정
1. 한부모 가정의 개념
가족은 일반적으로 부모와 그 자녀로 구성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사유로 한쪽 부모가 부재일때 한부모가족이 되며, 부나 모 중의 한사람이 단독으로 부모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족을 한부모 가정으로 인식하고 있다. 즉 한부모 가정은 양친 중 어느 한쪽의 사망, 이혼, 유기, 별거로 인해 편모 또는 편부로 이루어진 가족을 말한다. 한국여성계발원에서는 부모 중 한쪽의 사망, 이혼, 유기, 별거로 인하여 편부 또는 편모와 그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으로 보아 원인의 범위를 한정하여 한부모가계를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한부모가계는 부모의 한쪽과 자녀가 함께 살아야 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한부모가족의 어떠한 특성을 기준으로 설정해야 하는지는 관점과 입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2. 한부모 가정의 특성
저소득 한부모 가계는 일반적으로 초․중․고 자녀를 둔 중년기로서 저학력이고 기술이 없고 직업훈련의 기술이 없으며 저임금 등의 직업군인 건설 노무자, 식당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고 있다. 한부모가족의 가정은 생계유지를 위해 일을 해야하기 때문에 자녀양육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다. 자녀들의 학습지도문제 등의 어려움과 정서적인 인격함양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직업의 불안정은 물론 자녀교육문제, 가사처리문제를 갖고 있으며 특히 편부가족의 경우 가사처리에 대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지만 생계문제로 인하여 더 많은 부담을 갖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부모 가정은 부모 중 한쪽의 부재와 가족의 경제적 빈곤이라는 이중의 어려움에 봉착해 있다. 가족의 빈곤상황은 가족에게 부정적인 정신적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이들에게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생계해결을 위한 경제적 어려움이다.
3. 한부모 가정의 발생원인
1) 배우자 사망에 의한 한부모 가정
우리나라의 한부모 중 70~80%를 차지하고 있고, 편부가족보다 편모가족의 비율이 더 높다. 경제적 활동으로 남성의 사망율이 여성보다 2~3배 높고, 평균수명이 여성은 남성보다 7~8년이 길다.
2) 배우자 유기에 의한 한부모 가정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