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이론
리포트 > 예체능
국악이론
한글
2011.04.25
7페이지
1. 국악이론.hwp
2. 국악이론.pdf
국악이론
국악이론

농현

농현이란 거문고나 가야고 같은 현악기의 왼손 기법 중의 하나로서 장식법의 일종이다.
이러한 음의 기능이 중심음을 결정짓는데 있어 결정적 역할을 하며 선법도 결정짓게 한다.
또이 농현 방법에 따라 연주되는 음악이 어떠한 종류의 음악인지를 구별하고, 나아 가서는 연주자의 음악성과 인격까지도 나타내주고 있을 만큼 중요하다.

1. 요성

요성이란 떤다는 뜻으로 vibrato를 의미한다.
이 요성이 많이 붙는 음이 대개 중심음이다.
요성을 적게 쓰면 청초간결하나 지나치면 무미하여지고, 반대로 요성을 굵게 쓰면 표출력이 강해지는 반면, 속해진다.

2. 퇴성

퇴성이란 꺾는목 또는 미끄러 떨어뜨리는 소리이다.

선법과 음계

1. 선법

중국음악이 궁, 상, 각, 변치, 치, 우, 변궁의 7음음계로 이루어지는데 우리 나라 음악은 5 음음계 내지 3음음계의 음악이 많다.
그 선법에는 다음과 같은 2가지가 있다.

가) 평조

5음음계의 sol선법으로서 예를 들어 황, 태, 중, 임, 남의 5음 중 중과 임사이가 계면조에 서의 그것보다 넓어서 장 2도에 가깝고, 2도와 4도 진행이 많은 계면조에 비하여 3도 진 행이 많고, 농현에 있어서 요성과 퇴성은 계면조 보다 덜 격렬한 점들이 평조의 특색이다.

나) 계면조

영조(1725~1776)이전 즉 대악후보(1759년 편찬)를 기준하여 그 이전의 계면조는 5음음계로 된 La선법이었다.
그러나 순조시대(1801~1834) 유예지후로는 몇몇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거의 3음음계로 변하였다.
이 3음음계의 계면조는 음악의 장르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 5음음계로 된 계면조는 종묘 제례악 중 정대업에만 남아있다.

2. 음계

이혜구님의 양금신보의 4조 에 의하면 광해 당시(1610)의 가곡에는 다음과 같은 4조가 있었다.

①平調平調: (약칭으로 平調) Sol-mode in Bb 즉林鍾平調

....
국악이론 - 종묘제례악에 대해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예체능] 풍물굿의 지역별 특징 국악 역사, 유래, 정의, 필요성, 인식, 국악 활..
국악공연관람기2 국악감상에앞서이루어지는마음가짐의정리
국악에 관해 국악의 역사, 유래, 정의, 국악 악기의 특징, ..
국악 공연 관람기 국악 가족음악회를 관람하고서
음악과 국악의 의미에 대한 나의 생각 국악의 역사에 대하여
정동극장상설국악공연 광주 시립 국악 관현악단의 연주를 듣고
 
태권도_선수의_상해
생활체육 정의,생활체육사례
체육학 - 평생체육의 개념, 필..
스포츠 마케팅의 개념과 전략,..
대중음악표절,대중음악표절정..
[스포츠] 스키의 역사, 경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