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
0. 들머리
본고에서는, 중국어에서 결과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보어] 형식의 복합 동사, 즉 ‘동보식 복합 동사’에 대해서 분석하려 한다. 이 분석은 GB 이론의 틀 안에서 주로 다음 사항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즉, 동보식 복합 동사는 중심어 이동(Head movement)의 일종인 동사 인상(Verb Raising)을 경유하여 통사적으로 형성된다는 점, 또한 이 절차에 의하면 동보식 복합 동사문의 목적어가 두 개의 역할을 지니지 않게 되며, 그 결과 -criterion에 위반되지 않고 격 부여에도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는 점이 그것이다.
1. 동보식 복합 동사의 유래
太田辰夫(1958:204-210)는 중국어의 동보식 복합 동사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누었다.
가. 사역식 복합 동사(使成複合動詞):打倒,推倒,拉倒
나. 결과식 복합 동사(結果複合動詞):寫好,學好,辦好
그는 이어서 고대 중국어의 예로 다음의 예문을 들고 있다. (1)은가.의 예이고 (2)는나.의 예이다.
(1) 四畔放火燒死.(舜子至孝變文p.2721)
사방에서 불을 붙여 태워 죽였다.
(2) 不可再做錯了.(朱13)
다시 잘못을 저질러서는 안 된다.
太田에 의하면, 사역식 복합 동사는 늦어도 당대(唐代)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데, 결과식 복합 동사는 사성복합 동사로부터 유추(analogy)에 의해 생긴 것이어서 형성 시기가 더 늦기 때문에 당대 이전에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太田은, 명확히 말하고 있지는 않지만, 가.는 동보식 복합 동사의 후항1)1) 역자 주: [동사+보어] 꼴로 만들어진 동보식 복합 동사에서 [동사]를 전항이라 하고 [보어]를 후항이라고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