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어의 <모음체계> 연구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1. 모음이란?
2. 국어사의 시대 구분
3. 시대에 따른 모음 체계의 변화
1) 고대 국어의 모음 체계
2) 전기 중세 국어의 모음 체계
3) 후기 중세 국어의 모음 체계
(1) 15세기의 모음체계
(2) 훈민정음 창제자들이 인식하고 있던 중세 국어의 단모음 체계
(3) 훈민정음 중성해에 나타난 문자 체계
4) 근대 국어의 모음 체계
5) 현대 국어의 모음 체계
★ 참고 문헌 ★ |
|
|
|
옛날 우리 민족의 언어는 크게 북방의 부여계 언어와 남방의 한계 언어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후 삼국이 정립하면서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로 나뉘어져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시기의 언어에 대해서는 자료의 부족으로 말미암아 그 구체적인 모습을 알기가 어렵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부터 경주를 중심으로 언어가 통일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 시기의 국어를 고대국어라 한다.
10세기 초에 고려가 개성을 중심으로 하여 건설되면서 모든 중심이 경주로부터 개성으로 옮겨졌는데, 이는 언어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뒤 개성으로부터 서울로 이 중심이 다시 옮겨졌으나 언어의 모습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 중세국어는 10세기 고려의 건국에서부터 16세기까지 7세기 동안에 걸친다. 그리고 이 시기는 모음추이가 일어났다고 보이는 14세기를 경계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된다. 전기 중세국어의 시기는 대체로 고려 왕조에 해당하며, 후기 중세국어의 시기는 조선왕조의 처음 200년에 해당한다. 전기 중세국어는 주로 한자로 표기된 자료에 의하여, 후기 중세국어는 훈민정음 자료에 의하여 대표된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인 17세기 초에서 19세기 말까지 3세기 동안에 걸친 국어를 근대국어라고 한다. 이 시기에는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 중세국어와 달라지면서 현대 국어의 여러 특징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따라서 근대국어는 중세 국어에서 현대국어에 이르는 국어사적인 변화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시기가 된다고 할수 있다.
.
.
.. |
|
|
|
|
이기문(1972), 국어사개설, 탑출판사.
국립국어연구원(1996),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김완진(1974), 국어음운체계의 연구, 일조각.
김동소(1998), 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