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감사1
리포트 > 경영/경제
인사감사1
한글
2011.08.29
3페이지
1. 인사감사1.hwp
2. 인사감사1.pdf
인사감사1
인 사 감 사

Ⅰ. 인사감사의 의의 및 필요성

1. 인사감사의 의의
인사감사란 현재 행해지고 있는 인사관리가 인사통제를 위한 평가기준과 비교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2. 인사감사의 필요성
인사감사는 감사과정을 통해 인사관리나 노사관리 정책이 범하기 쉬운 오류를 시정하고 경영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노동력 관리 내지는 인사관리 시행에 필요한 자료 또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인사관리면에 있어서 하나의 사이클을 형성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Ⅱ. 인사감사의 주체와 시기

1. 인사감사의 주체
1) 내부감사
내부감사는 기업내부의 경영층 또는 내부 인사전문가가 주체가 되어 실시하는 것으로서 감사자가 기업내부의 자료나 정부수집을 쉽게할 수 있어서 실태파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독립성이 약하기 때문에 기업내의 관행이나 전통에 대해서 새로운 감각을 가지고 비판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2) 외부감사
외부감사는 기업외부의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는 위탁감사로서 감사에 있어서 독립성과 전문적인 능력을 발휘하여 신기법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타 기업과의 비교를 통해 객관적인 감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면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들며, 기업내부의 정보를 얻거나 해석․판단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다.
3) 합동감사
합동감사는 기업내부의 경영층이나 인사전문가와 외부의 전문가가 합동해서 실시하는 감사로서 내부 및 외부감사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상호책임의 전가 내지 감사의 특성이 결여될 위험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
인사감사 인사감사 및 정보
[인사통제] 인사통제, 인사감사, 인사조사, 인.. 인사감사의 종류 와 인사감사의 방식1
인사감사의 의의 및 목적과 시행순서1 인사 감사의 유형과 효율적인 실시 방안
인사 감사에 대하여 설명 한국 기업의 인사감사의 문제점 및 대책1
인사감사의 의의와 중요성 인사감사 전반의 인사관리상 검토
인사감사 전반의 검토 및 한국에서의 인사감사 .. 인사 통제
감사인사전달 후원으로가입한것에대한감사인사
 
생태체계이론(생태체계이론의 ..
사회복지실천모델(4체계모델,..
체계론적 사고의 기본 논리
[중독과 가족] 공동의존의 증..
비비고 bibigo 경영전략과 해..
영국의 자원봉사 현황(자원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