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교섭의 당사자
리포트 > 법학
단체교섭의 당사자
한글
2011.08.29
2페이지
1. 단체교섭의당사자.hwp
2. 단체교섭의당사자.pdf
단체교섭의 당사자
노동법상 단체교섭의 당사자

Ⅰ. 들어가며

1. 의의
단체교섭의 당사자란 자기의 이름으로 단체교섭을 행하고 그 법적효과가 귀속되는 단체교섭의 주체를 말한다.

2. 논의의 필요성
단체교섭 당사자 여부에 따라 교섭거부가 부당노동행위가 될 수도 있고, 향후 쟁의행위의 정당성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명백히 할 필요가 있다.

Ⅱ. 단체교섭의 당사자

1. 근로자측의 당사자

1) 노동조합
단체교섭의 당사자는 원칙적으로 개개 근로자가 아니라 노동조합이다. 여기에서 노동조합이란 노조법상의 노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대외적인 자주성을 갖추고, 통일적인 의사 형성이 가능한 단체성이 있으면 족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법외노조와 일시적인 쟁의단이라 할지라도 통일적인 의사가 형성되고 자주성을 가진 단체라면 교섭의 당사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판례는 이를 부정하고 있다.
2) 법외노조
단체교섭은 헌법상 보장된 근로자의 권리로서 여기서의 노조는 노조법상의 형식적 요건까지 갖춘 필요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노조의 자주성의 요건인 실질적 요건을 갖추는 한 법외노조도 단체교섭의 당사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3) 일시적 쟁의단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조직된 일시적 쟁의단도 근로자의 통일적인 의사가 형성되고 자주성을 가진 단체라면 단체교섭의 당사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판례는 부정하고 있다.
4) 상부단체
....
노조법상 단체교섭 위임에 대한 법적 검토 단체교섭의 당사자 및 담당자에 대한 연구
단체교섭의 방식 [집단적 노사관계법] 단체교섭의 규칙과 부당노..
단체교섭의 대상 경영사항의 단체교섭의 대상 여부
노조법상 단체교섭의 당사자 산별노조의 교섭방식에 관한 노사합의 문제1
산별교섭의 주체에 관한 법적 검토1 단체교섭의 당사자
단체교섭의 당사자와 담당자 단체교섭의 당사자와 담당자1
노조법상 단체교섭의 당사자관련 판례연구1 단체교섭의 당사자 및 담당자
 
[법학] 전세권
범죄자 얼굴공개 찬성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의 확정에..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적격에 대..
민사소송에서 성명모용소송의 ..
조합 활동과 노무 지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