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해고 요건으로써 성실한 노사협의1
리포트 > 법학
정리해고 요건으로써 성실한 노사협의1
한글
2011.08.29
2페이지
1. 정리해고요건으로써성실한노사협의1.hwp
2. 정리해고요건으로써성실한노사협의1.pdf
정리해고 요건으로써 성실한 노사협의1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 요건으로써 성실한 노사협의

1. 성실한 노사협의의 의의

정리해고는 사용자측의 영역에서 그 해고의 필요성이 발생하고, 이를 이유로 아무런 잘못이 없는 근로자를 희생시킨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리해고의 경우에는 근로자의 생존권 보장을 위하여 보다 엄격한 절차적 제한이 요구된다. 정리해고는 사용자의 일방적인 사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뿐 아니라, 대량해고의 경우가 많고, 해고대상자가 특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고의 방침, 해고대상자의 수 및 해고대상자의 선별 기준이 마련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우리나라 근로기준법 제30조 제3항은 사용자에게 해고를 피하기 위한 방법과 해고의 기준을 해고실시 60일 이전까지 근로자대표에게 통보하고 근로자대표와 성실하게 협의할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2.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 규정의 검토

대법원은 2003. 7. 22. 선고 2002도7225 판결에서 제31조 제3항의 입법취지, 내용 및 그 효과를 집약적으로 표현한 바 있다. 여기에서 대법원은 현재 우리나라의 정리해고법제와 관련하여“근로기준법 제31조는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정리해고에 관하여 그 요건을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고, 근로자들과의 사전협의를 필수적인 절차로 규정하고 있으며, 그 효력에 대하여는 사법심사의 길이 열려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를 나누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성실한 노사협의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 의무 관련
정리해고에서의 성실한 노사협의의 무관련 주요.. 정리해고시 근로자대표와의 사전협의
정리해고의 유효요건 정리해고의 유효요건에 대한 법적 검토
근로기준법상 경영해 고시 사전협의 조항의 효.. 명예퇴직제도와 그 운영방식
정리해고시 근로자대표와 사전협의의무에 관한 .. 정리해고의 요건으로써의 근로자 대표와 사전협..
정리해고 요건으로써 해고 회피 노력연구1 해고회피노력 연구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 정리해고의 요건으로서의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
 
우리 나라의 정리해고에 대한 ..
정리해고 요건으로써 해고 회..
정리해고의 유효요건
인사관리 관점에서의 정리해고1
정리해고의 의의 전반
정리해고의 유효요건에 대한 ..
정리해고의 유효요건
[법학] 전세권
범죄자 얼굴공개 찬성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의 확정에..
민사소송법상 당사자적격에 대..
민사소송에서 성명모용소송의 ..
조합 활동과 노무 지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