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語 綴字法과 그 변천에 관한 고찰
논문 > 어문학분야
말레이語 綴字法과 그 변천에 관한 고찰
한글
2011.04.08
16페이지
1. 말레이語 綴字法과 그 변천에 관한 고찰.hwp
2. 말레이語 綴字法과 그 변천에 관한 고찰.pdf
말레이語 綴字法과 그 변천에 관한 고찰
말레이語 綴字法과그 변천에 관한 고찰*

1)

차례

Ⅰ.序
Ⅱ. 철자법의 도입과 그 변천
Ⅲ. 철자법의 개정과 그 영향
Ⅳ.結語

Ⅰ.序

본 논문에서는 현재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사용되고 있는 말레이 Melayu어의 철자법에 관하여 논의된다. 말레이어는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조어 祖語이다. 고유의 문자체계가 결여된 말레이제도는 유사이래 수 차례에 걸쳐 외래 문자를 수입해서 문자체계를 혁신해야만 했다. 빨라와 Pallawa문자에서 까위 Kawi문자로, 까위문자에서 자위 Jawi문자로, 그리고 현재는 로마자를 사용하고 있다. 말레이제도 내에서의 로마자 사용은 서구인들의 도래와 관계가 깊다.
서구인의 도래는 곧이 지역에서의 식민통치로 발전하였고, 이 지역에서 사용되던 자위문자는 서구인의 편의에 따라 로마자로 개혁이 되었다. 문자개혁 과정에서 말레이시아는 영국의 식민통치 영향으로 영어 철자법을 근거로, 인도네시아에서는 화란의 식민통치 영향으로 화란어 철자법에 근거하여 각각 영국식 로마자와 화란식 로마자로 개정됨으로써 상이하게 발전되었다.
이와 같은 상이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1959년에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간의 우호협약이 맺어졌고, 수년간의 걸쳐 양국의 통일철자법을 완성하여 1972년에는 말레이시아 수상령으로 ‘신 말레이시아 철자법’ Ejaan Baru Bahasa Malaysia이, 인도네시아 대통령령으로 ‘완성철자법’ Ejaan Yang Disempurnakan(EYD)이 각각 선포되었으며, 1975년 8월 31일에 양국의 문교부 장관 시행령으로 공식화되어 양측이 거의 동일한 로마자 문자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
언어정책 영유아의 쓰기발달 과정과 슐츠비(Sulzby)의 쓰..
스크래블/업워드의게임규칙 부르크하르트의 역사관에 대하여
[철학] 부르크하르트의 역사관에 대하여 동남아시아 음식문화 -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
우리나라 외환 및 자본 자유화가 환율과 이자율.. 싱가포르항공 마케팅,경영전략 레포트- 싱가포..
그리스 신화의 탄생배경 대학의성립과한국의근대화
교직의 전문성(교사의 전문성)과 교직관의 변천.. [전통문법] 문법이론의 변천과 특징 및 이론고찰
[사회의 변천과정] 성숙된 사회문제의 대두 한국근대도시주거건축변천과정에관한고찰
 
중국어교재편찬원칙고찰
문학 작품의 영화화에 대한 역..
알렉산더대왕의 동방원정
최인훈 희곡의 시극 가능성 고..
김동리박사논문
콩쥐 팥쥐 이야기에 드러난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