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7월 아프리카 대통령 취임 후 첫 아프리카 순방을 하기에 앞서 자신의 아버지가 미국에 건너올 당시의 케냐와 한국의 경제수준은 비슷했으나 지금의 한국의 경제강국이 된 것을 예로 들면서 아프리카 국가들이 식민지 국가였던 이유 때문에 민주적 사회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핑계를 대지 말라고 말했다.1)1) 2009.07.11일자 New York Times 사설 인용.
오바마 대통령의 말처럼 우리나라는 과거 식민지를 경험한 여는 나라들에 비해 고도의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룩하였다. 과연 이와 같은 성과를 이룰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한국의 발전의 근원을 두고 과거에는 내부에서 찾으려는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고, 주류를 이루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외부, 그것도 일제 식민지 시대 일본의 식민지 정책에서 찾으려는 식민지근대화론을 동의하는 의견이 과거에 비해 늘어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과연 식민지근대화론이 무엇인지와 이 이론이 타당한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이 레포트를 통해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여러 주장을 소개하고 나의 의견을 덧붙이고자 한다.
처음에는 식민지근대화론과 그 반대되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내재적발전론에 대해 조사했었다. 그러나 조사를 하면서 논의가 민족주의사학으로까지 너무 광범위해지고 우리나라의 근대화의 시작을 조선조 후기에서 찾으려고 하는 내재적발전론은 그 근거가 빈약하고 최근에 식민지근대화론을 반대하는 학자들조차 내재적발전론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을 밝히는 등 학계에서 입지를 잃어간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이 레포트에서는 식민지근대화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의 주장과 그 주장에 반대되는 여러 주장들로 논의를 한정 짓기로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