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문학의 특징
리포트 > 인문/어학
한국 현대 문학의 특징
한글
2012.03.22
2페이지
1. 한국 현대 문학의 특징.hwp
2. 한국 현대 문학의 특징.pdf
한국 현대 문학의 특징
시대별 한국 현대 문학의 특징
고전문학과 현대 문학의 분기점 - 개화기


소 설
개화기
~
1910년대
- 고전 시가 양식과 근대시 양식이 공존
- 개화 가사, 개화 시조, 창가, 신체시
- 애국, 개화 사상을 내용으로 함
- 고전 소설과 현대 소설의 징검다리 역할
- 신소설(혈의 누, 자유종 등)
- 개화 사상, 교육 입국
- 이광수 ‘무정’
1920년대
- 이상화(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김동환(국경의 밤)
- 시조 부흥 운동(최남선, 이은상, 이병기)
- 한용운(임의 침묵), 김소월(진달래꽃)
- 경향시
- 가난을 소재로 한 소설(운수 좋은 날, 만세전, 가난한 사람들, 인력거꾼)
- 경향 소설(조명희, 최학송)
- 전반기는 가난하고 억압받는 모습, 후반기는 급진적 태도로 억압적 현실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작품
1930
~
1940년대
- 순수시(언어의 예술성과 음악성 중시)
: 박용철, 김영랑
- 모더니즘(시각적 이미지) ; 이미지즘
: 김광균, 이상, 정지용
- 생명파(인간과 생명의 탐구) : 서정주, 유치환

- 저항시 : 이육사, 윤동주
-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으로 양분
- 이기영, 김남천 ; 비참한 현실
- 이상, 박태원 (모더니즘)
- 다양한 소설 유형(역사 소설, 가족사 소설, 농촌 소설)
광복 직후
- 청록집(박목월, 박두진, 조지훈)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윤동주)
- 일제의 포악함과 당시 한국인의 참혹산 삶을 실상을 드러낸 작품
1950년대
- 전쟁시, 애국시
- 역사 앞에서(조진훈), 보병과 더불어(유치환)
- 후반기 모더니즘
- 전시 소설(적개심 표출, 반공주의)
- 전후 소설 ; 전쟁이 남긴 상처, 한, 허무감, 절망, 죄의식(카인의 후혜, 불꽃, 오발탄)
- 가난, 부조리, 병 불신
1960년대
- 참여시
- 신동엽, 고은, 김지하
....
[한국문학] 기행문학의 이해 [한국문학] 조선 전기문학과 후기문학의 내용과..
한국 현대문학과 민중의 발견 한국 현대문학 - 시인 이상화의 생애, 문학세계..
교재에서 제시한 20세기 이후의 6가지 중요한 .. 1950년대 전쟁후 한국 문학의 특징과 배경
북한문학의이해 [아동문학의 정의와 종류] 아동문화의 개념과 ..
[일본 고전 문학사] 일본 고전문학을 상대부터 .. 선봉문학
농민문학론 문학론, 문학의정의, 문학의기원, 문학의형태와..
현대 문학사 - 1920-30년대 문학대중화 논쟁 문학은 죽었는가
 
[국문학] 장끼전 작품 분석
페이비어니즘의 원칙과 목표 ..
그리스도인은 인간을 어떻게 ..
평신도를깨운다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