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의 발달
리포트 > 사회과학
자기의 발달
한글
2019.09.26
9페이지
1. 자기의 발달.hwp
2. 자기의 발달.pdf
자기의 발달에 대한 레포트 자료.
자기의 발달

I. 자기와 타인의 분화

Werner와 Kaplan(1963)은 영유아기의 발달적 특징을 '미분화'라는 단어로 표현 했다. '미분화'란 '마음과 몸의 미분화'이며, 또한 '자기와 타인의 미분화', 즉 자기와 타인의 개념 구분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영유아기의 발달적 특징은 이 시기의 자아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인간은 자신이 타인과는 다른 존재라고 하는 인식을 언제부터 갖기 시작할까? 자신의 손과 발을 마치 장난감처럼 만지작거리거나 빨고 있는 영아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처럼 출생 초기에는 자신의 신체와의 접촉을 통해 영아는 감각적으로 자신의 신체는 자신의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러다가 어머니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신과 다른 존재인 타인을 이해하고 의식하게 되면서 이번에는 자기 자신을 대상화하여 볼 수 있게 된다. 이 사실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에 대한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생후 3, 4개월경의 영아는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자기 자신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영아는 거울 속에 비친 자기 자신 모습을 보고는 또 한 명의 사람이 저쪽에 있는 것처럼
거울에 얼굴을 부딪쳐 보거나 두드려 보기도 한다. 마치 개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는 짖어 대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생후 1년경이 되면 거울에 비친 사람은 실물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생후 1년 6개월경 후가 되면 거울 속의 자기의 모습은 실제가 아니며, 자신을 비춘 모습이라고 하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잠을 자고 있는 아기의 코끝에 립스틱을 묻혀 두고는 잠에서 깨어났을 때 거울을 보여주면
이전에는 거울에 비친 립스팁을 닦으려고 하였지만, 이 시기가 되면 자신의 코에 묻어 있는 립스틱을 닦으려는 행동을 보이게 된다. 또한 거울 앞에서 이런 저런 자세를 취하기도 하고, 거울 속에 자신을 향하여 말을 거는 등, 혼자놀이를 즐기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다.
그런데 거울 속에 비친 모습을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존재가 필요 불가결하다. 동물 중에 침팬지는 인간처럼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또래와 격리되어 양육된 침팬지는 자신을 인식할 수 없다. 그래서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향해 빨을 보이며 화를 내거나 반대로 무서워하기도 한다. 이 사실은 '자기'라는 존재를 이해하게 되는 것은 생득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존재가 전제되어야 비로소

...(이하 내용 생략)
개념, 정의, 특징, 과제
아동기 사회정서발달(아동의 자기이해발달, 정.. [아동기 사회정서발달] 아동기 정서발달, 자기..
[자기의식발달] 자기의식의 발달(자기의식 발생.. [자기통제발달] 자기통제의 발달(아동초기의 자..
[유아기발달] 유아기 지적발달 - 유아기 지각발.. [아동기 자아발달] 아동기 자기평가(자아존중감..
[아동기 발달특징] 아동기 신체발달, 인지발달,.. [유아기 성격발달] 유아기 자아발달 및 양심발달
학령전기 아동발달(학령전기 아동의 신체발달, .. [아동기 인지발달] 아동기 인지발달의 특징과 ..
유아기 발달특징 및 발달과제 [로저스이론] 자기개념의 발달과 무조건적 긍정..
[아동기 자아발달 특징] 아동기 자기이해의 발.. 아동의 정서발달, 기질발달, 애착발달, 자기이..
 
종군위안부문제에대한
비영리조직에서 후원자개발과 ..
긴급재난지원금 정책집행의 효..
노인빈곤문제
사회복지의 관한 용어정리와 ..
자원봉사자의 인정과 보상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