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알코올중독(의존)가족의 가족구조와 경계, 가족규칙
|
|
|
|
알코올중독(의존)가족의 가족구조와 경계, 가족규칙
I. 가족구조와 경계
알코올중독(의존)가족의 경계(boundary)는 지나치게 경직되어 있고, 술 문제는 의존자와 가족들을 가족 내에서 고립시키고, 가족 전체가 지역사회로부터 고립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외부 환경에 술문제를 발설하지 않도록 강요받으며, 항상성은 유지할 수 있지만, 가족구성원들의 자아존중감과 성장발달은 상당히 치명적인 대가를 치르게 된다(Steinglass et al., 1987).
알코올의존 가족의 특성을 일반 가족과 비교한 선행 연구들을 보면, 의사소통, 대인관계, 상호작용기술 등이 심각하게 역기능적이며, 알코올의존 가족들은 사회 내에서 고립되고 지나치게 경고한 가족경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의존 가족은 나름대로 가족의 항상성을 달성 ․ 유지함으로써 알코올의존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을 겪게 되는데. 이는 오히려 알코올의존을 더 진행하도록 순응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Steinglass. 1980).
알코올의존 가족에서는 술 문제가 없는 부모가 부모체계로서의 권위와 책임을 대부분 담당하게 되며, 의존자는 부모로서의 권한에서 한 걸음 물러서게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의 치우침 현상이나, 아내와 남편의 역할전환은 술 문제가 없는 배우자에게는 무거운 짐이 되고 알코올의존자인 배우자를 원망하는 삶을 살게 된다. 때로는 조부모나 맏자녀가 부모의 역할과 권위를 담당하기도 하지만, 나머지 자녀들은 심리적인 부모가 누구인가에 대한 혼란감을 극복하기 어렵다.
II. 가족 규칙
알코올의존 가족은 경직되거나 불건전하고, 모순된 규칙들을 따르면서 폐쇄적인 가족체계를 유지해 나간다. 샤론 벡샤이더(Wegscheider)에 의하면, 알코올의존 가족이라면 거의 대부분의 가족이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 알코올의존자의 음주가 가족의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의존자는 술을 마시는 것에 집착하고, 가족들은 어떻게 해서든지 술을 못 마시게 하려고 애를 쓴다.
․ 알코올문제는 가족문제의 원인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가족들은 술 문제가 심해지기 전까지는 알코올의존자의 술 문제를 부인(denial)하지만, 주변의 조소와 비난을 받게 된다.
․ 알코올의존은 의존자의 책임이 아니며. 다른 사람이나 일
... |
|
|
|
|
|
|
|
|
|
|
|
|
|
|
|
|
|
|